•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時調를 통한 松伊와 黃眞伊의 同異性 비교 고찰 (A comparison on Songi's and Hwangjini's sijo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1.07
27P 미리보기
時調를 통한 松伊와 黃眞伊의 同異性 비교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35호 / 167 ~ 193페이지
    · 저자명 : 이화형

    초록

    기생들의 문학은 사대부들의 문학과 더불어 우리 문화사에 소중한 발자취로 남아 있다. 기생들이 읊은 시조 역시 사대부들의 것과 함께 우리 시가사에서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심도 있는 연구의 결과 기생들의 문화사적 역할과 성과에 따른 상당한 평가가 내려지고 있다.
    특히 기생 松伊는 가장 많은 작품을 남기고 일찍이 名妓로 평가받은 바 있으며, 역시 명기로 예술적 재능을 인정받은 黃眞伊도 6수나 되는 시조를 남기면서 현재 고교 문학교과서 수록 1위에 오를 만큼 모두가 보물처럼 귀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기생으로서 전문적 문인의 위상을 보이며 어느 누구보다 자존심이 강했던 조선중기의 이 두 여성이 공통점과 더불어 사뭇 성향을 달리함에도 불구하고 비교 논의되지 않았던 점은 아쉬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詩妓들은 물론 여성이자 기생으로서의 삶과 의식에 있어 한계도 드러낼 수밖에 없었지만 재능과 교양을 갖춘 인간으로서 근원적 자존심을 숨길 수 없었다. 다만 그들은 신분적 갈등을 느끼면서도 사회적 규범을 벗어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자연히 그들의 시적 대상은 정치적 현실과 거리를 둔 근원적 인간 내면의 문제로 기울어졌을 것이다. 다시 말해 詩妓들은 주로 애정관계를 시적 모티브로 삼아 인간의 총체적인 삶의 지향성에 대해 고민했다고 볼 수 있다.
    송이와 황진이의 시세계도 존재론적인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았다. 무엇보다 두 시인이 자존심을 바탕으로 순수와 진실을 추구함에 있어서는 동질적이라 할 만하며, 신분적 한계로서의 정념에 시달렸던 것도 마찬가지로 동일시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황진이는 늘 자신감에 차 있고 주체적 입장에서 의지적으로 인간과 세상을 보고자 했다면, 송이는 자신감과 달리 비교적 감성적이며 소극적인 성격의 자조적인 모습을 보였다고 하겠다.
    자신들의 고유한 체험이 보다 진솔하게 구현된 시조작품을 통해 조선중기에 활동했던 대표적인 두 기생을 비교해 봄으로써 기생들 작품세계의 전반적 특성과 아울러 다채로움을 이해하는 단초가 될 수 있었다고 본다.

    영어초록

    The literature of kisaeng is so important in Korean literature. The kisaeng's sijos are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the history of poetry. They are set a high value on kisaeng's art abilities and literary works by the lots of studies.
    Especially, Songi was evaluated as an outstanding gisaeng and poet. And the most famous woman artist, Hwangjini handed down 6 sijos also. But they are not compared though they are the representative kisaeng artists in Choseon dynasty. It is so inconvenient not to study on two women and their works.
    They had some limits as women and kisaeng in life and thinking. But they had some kind of prides as talented human beings. It was hard to escape from social rules though they had conflicts in status. It was right to have concern on the nature and write about ultimate matters on human beings. They are concerned about the ultimate purpose of life and they made poetic motive as love affair.
    The poetic directivity of Songi and Hwangjini stood on essentiality of ontology. They had similarity in the point of that they pursued purity and fidelity on pride and suffered by the limits on status. Hwangjini had confidence in herself and tried to see the human and the world as strong subject. But Songi showed sentimental, passive and self ridicule inclination.
    It is so important to compare two representative women poets and their poetry in Choseon dynasty in this study. Because it make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diversity of kisaeng's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시조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