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文佛典《禪門拈頌集》疑問詞用法研究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9.08
14P 미리보기
漢文佛典《禪門拈頌集》疑問詞用法研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성대학교 한국한자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자연구 / 24호 / 253 ~ 266페이지
    · 저자명 : 양영매

    초록

    Buddhist Texts written in Chinese are important data not only for studies of Buddhist texts but also for studies regarding the history of the Chinese language. Seonmun Yeomsongjip (hereafter SMYSJ), a book compiled by monk Hyesim during the Goryeo era, is the oldest and largest Buddhist scriptures in the nation and has always been one of the must-reads in the Buddhist community. This Zen dialogue-type SMYSJ which details quotations by founders of religious sects has many interrogative sentences. From such an aspect, this book is highly valued as precious data for studying colloquial words during the Song Dynasty. However, there have not been many linguistic studies with regard to this text. Considering that there are plenty of interrogative sentences in SMYSJ, for this study, efforts were made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development of interrogative sentences based on an analysis of the kinds, types, and frequency of interrogative sentences that appear in the book. Based on this kind of analysis, interrogative sentences appearing in SMYSJ can be divided into six categories. The ‘何’ category,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lower types and is used the most frequently, has been used in the forms of 如何, 云何, 若何, 何物, 何者, 何等, 何处, 何方, 何所, 何在, 何人, 何故, 何以故, 因何, 何以, 以何, 作何, 何似生, 何时, and 如何 has enjoy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e. The ‘什么’ category of the second-highest frequency of use contains the forms of 什麼, 什麼生, 什麼处, 什处, 什麼人, 什麼时, 什摩时节, 作什麼, followed by the '怎么' category to which the forms of 作麼, 作麼生, 作生, 怎生 belong. An interrogative pronoun of the fourth-highest frequency of use is the '怎么' category to which the forms of 作麼, 作麼生, 作生, 怎生 belong, followed by the ‘那’ category with just three forms of 那箇, 阿那箇, 阿那个, and the ‘几’ category with 幾箇, 幾何, 多小, 大小. In the ‘几’ category, 大小 appeared most. Regarding the study on the usage of interrogatives, those interrogatives for asking men, things and places were connected by type and their semantic func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each type had very different forms of express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frequency. Regardless of types, most of the interrogatives appearing in SMYSJ were used in interrogative sentences.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them, of course, were used for rhetorical questions but some of them were used for directing. In conclusion, regarding interrogatives appearing in SMYSJ, expressions used for colloquial words during the Song Dynasty appeared, but some types of usage during this period did not appear. Considering these aspects, interrogatives appearing in SMYSJ did not have the complete features of the modern version of the spoken languag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