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사소송법 개정의 방향과 과제 (Orientation and Assignment of Revision in Family Litigation A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03
35P 미리보기
가사소송법 개정의 방향과 과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법발전재단
    · 수록지 정보 : 사법 / 1권 / 27호 / 3 ~ 37페이지
    · 저자명 : 김원태

    초록

    이 글은 가사소송법 전부 개정과제 중 일부에 한정하여 개괄적으로 개정의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현행 가사소송법은 1990년에 가사사건 일반에 적용할 단행법으로 제정된 이후 20여 년이 넘도록 전면적인 검토는 단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가족법의 몇 차례의 부분 개정에 따른 가사소송법 및 가사소송규칙의 부분 개정이 있었는데 그쳤다. 이번 가사소송법의 개정 목표는 선진적이고 자기완결적인 가사사건절차 통일법을 완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규정들을 개정하거나 신설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가사소송법의 목적조항을 시대상황과 절차법의 목적에 맞게끔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가사소송법에는 가사사건절차에서 가정법원 및 당사자의 기본적인 책무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가사소송법의 자기완결적 정비차원에서 민사소송법의 부분적 준용보다는 독자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행 가사소송법상 가사사건의 구별에는 자기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가사사건을 유형별로 묶어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현행 가사소송법은 가사소송절차뿐만 아니라 가사비송절차 및 가사조정절차에 관하여 통합규정을 하고 있으면서도 겨우 73개 조의 법률만을 가지고 있을 따름이다. 가사사건절차에 다른 법률을 준용하도록 하고 있는 외에 가사소송규칙에 폭넓게 위임하고 있다. 따라서 법률사항과 규칙사항을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또 입법론으로서는 기록열람·복사를 청구하는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인정되도록 하고 예외적으로 신청을 허가하지 아니할 수 있도록 그 기준을 명확히 하고, 불허가에 대해서는 불복신청권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현행 가사소송법에서는 사전처분에 집행력을 인정하지 않고 있어 실효성이 없는 제도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가사소송법에서 사전처분에 집행력을 인정한다는 규정을 정면으로 두어야 할 것이다.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발달, 특히 교통과 통신 수단의 발달로 국제교류의 확대에 따른 국제가사사건의 증가를 가져왔다. 따라서 가사소송법에서 국제가사사건절차에 관한 규정을 신설하여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overall direction of the Family Litigation Act’s revision, albeit partially. Since its establishment in 1990 as a special law applying to general family cases,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has not been generally reviewed for more than 20 years. Only some partial revisions for the Family Litigation Act and the Rules on Family Litigation have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several partial revisions of the Family Law. The purpose of this revision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is to complete a unified law for procedures of family cases which is progressive and self-contained.
    In specific, I suggest that the following regulations be revised or newly established. Object clauses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must be modified so that the Act is up-to-date and appropriate for its purpose as an adjective law. The Family Litigation Act does not include regulations on basic responsibility of the Family Court and the parties during procedures of family cases. Considering the self-contained nature of the Family Litigation Act, it is desirable to establish separate provisions rather than to partially apply the Civil Procedure Act.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contradicts itself when differentiating family cases, and it may be appropriate to categorize family cases by types.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includes only 73 law items even when it serves as the prescribed consolidation on family non-litigation and family conciliation procedures as well as family litigation procedures, relying on other laws or widely delegating family case procedures to family litigation rules. It is necessary to modify legal terminations and rules. In terms of legislative theory, it is desirable that requests for reading or copying records are approved in principle, while criteria should be clarified for exceptions where such requests are denied, and also that the right of appeal of dissatisfaction should be prepared in the cases of non-approval. The current Family Litigation Act becomes ineffective because it does not admit executive force in advance decision. Thus, it is necessary to put the regulation of admitting executive force in advance decision in the Family Litigation Act. Now, international family cases are on the increase due to the expansion of international exchanges due to developments in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those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requiring establishment of regulations on international family case procedures in the Family Litigation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