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솔 르윗의 <월 드로잉>과 개념미술의 오리지낼리티 (Sol LeWitt’s Wall Drawings and the Originality of Conceptual Ar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4.08
31P 미리보기
솔 르윗의 &lt;월 드로잉&gt;과 개념미술의 오리지낼리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8권 / 453 ~ 483페이지
    · 저자명 : 우정아

    초록

    본 논문은 미국의 개념미술가 솔 르윗(Sol LeWitt, 1928~2007)의 <월 드로잉(Wall Drawings)>과 그 제작 방식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오리지낼리티’라는 개념에 기존의 기준을 넘어서는 대안적인 의미와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자 한 연구이다.
    르윗은 1968년부터 2007년에 세상을 뜨기까지, 근 40년 동안 <월 드로잉> 연작을 반복해서 제작했다. 글자 그대로 벽에 연필이나 분필 등으로 직접드로잉을 하는 이 작품은 대체로 직선이나 곡선, 때때로 부정형의 선을 다양한 각도와 조합으로 긋는 간단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단순한 형태다. 그러나실제로 그 작가인 르윗이 직접 제작한 것은 각각의 작품을 그리는 방법을 기술한 ‘설명’이 들어간 ‘증명서’와 작은 ‘도안’ 뿐이었고, 실제로 벽에 선을 그은 건 작가가 고용한 수많은 ‘제도사’들이었다. 르윗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물리적이고 가시적인 미술품이 아니라, 그 작품에 내재한 ‘아이디어’였기 때문이다. 르윗은 1967년, 미술잡지인 『아트포룸』에 이와 같은 새로운 미술의 의미를 정리한 글, 「개념미술에 대한 문단들」을 발표했고, 여기서 특히 “아이디어가 미술을 만드는 기계”라는 문구는 그 이후에 등장한 수많은 개념미술가들이 심미적인 사물로서의 미술이 아니라, 언어적 개념으로서의 미술을 추구할 수 있게 만든 금언이 되었다. 즉, 르윗은 반복적인 작업을 통해 오리지낼리티와 이것이 함의하는 ‘진품성(authenticity),’ ‘원작(original),’ 그리고 ‘근원적(originary)’ 주체로서의 개인, 즉 ‘저자(author)’ 등의 모더니즘적 가치들을 부정하고 도전하며 수정 혹은 파기를 유도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르윗의 작업에 대해, 미술사학자 벤자민 부클로는 르윗이 후기 자본주의 시대, 산업화된 사회의 전형적인 생산방식을 모방하는 ‘행정의 미학’이라고 보았다. 부클로를 비롯, 많은 학자들은 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의 산업 경제가제조업으로부터 후기 산업경제의 매니지먼트와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모했고, 이에 따라 미술가들이 행하는 작업의 성격 또한 전체 노동의 변화에 따라 ‘제조업’에서 ‘서비스와 행정’으로 이행했다고 보았다. 르윗은 이러한 이행 과정의 핵심에 있는 주된 작가로 꼽혀왔는데, 특히 헬렌 몰레스워스는 르윗을 대표적으로 ‘법률과계약 관계’에 의해 움직이는, ‘매니저’로서의 미술가로 분류했다. 그러나, 르윗의작품은 기존의 저작권법의 범주에 온전하게 포괄되지 않으며, 그와 제도사들의관계가 제품의 개발과 생산이 완전히 분리된 후기 산업사회의 매니저와 노동자의관계와는 전혀 다른 것이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르윗이 <월 드로잉>을 통해 ‘물화’의 상태 보다는 비가시적인 ‘개념’을 중시하고, 작품을 지배하는 강력한 하나의 ‘저자’가 아닌 다수의손에 의한 협업을 지향하며, 고정된 결과물이 아니라, 즉흥적이고 직관적인 순간의 선택에 의해 변화할 수 있는 상황을 유도한다는데 주목했다. 이는 후기 산업사회의 ‘행정’과는 거리가 멀고, 오히려 ‘협업적 창의성(collective creativity)’을 모델로 하는 21세기형 산업구조를 연상케한다. 본 연구에서는 르윗의 <월 드로잉>과그 작업 방식이 개인이 독점하는 근대적인 ‘오리지낼리티’의 한계를 인식한 지점에서 출발한 ‘협업적 노동’의 결과물이라고 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is study, I analyzed Sol LeWitt’s Wall Drawings and his productionmethod as a means of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meaning and renewedvalue of ‘originality.’LeWitt produced the series of Wall Drawings for almost forty years between1968 and his death in 2007. For the drawings, the artist conceived aninstruction and executed simple diagrams for geometric patterns orcombinations of basic formal elements, which be drawn directly on the wallin graphite, crayon, or colored materials. According to his principle, the WallDrawings are usually executed by ‘draftsmen’ other than the artist himself,because what matters to LeWitt was the ‘idea’ of the work, instead of itsvisible manifestation in physical materials. In 1967, LeWitt published nowlegendary essay, “Paragraphs on Conceptual Art,” in which he declared that“the idea becomes the machine that makes the art.” This radical redefinitionof artwork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originary moment of Conceptual Art,which positions the linguistic conception over the aesthetic object of art.
    Through Wall Drawings and their serial repetition, ephemeral quality, andsurrogate workers, LeWitt rejected the modernist values, such as authenticity,original artwork, and originary author.
    Benjamin Buchloh regarded the administrative aspect of LeWitt’s labor as amimetic execution of the production mode of the industrialized society in thelate-capitalist era, which he defined “aesthetic of administration.” Along with Buchloh, Helen Molesworth, among others, emphasized that the generalsocietal transition from manufacturing to management and service economyafter the Second World War is also reflected in the changing mode of artisticproduction. LeWitt was frequently referred to as the central figure in thistransition from manufacturing to administration, in which he took the positionof ‘manager’ acting to ‘the legislation and contract relations.’ However, it turnsout that LeWitt’s Wall Drawings not only evade copyright law, but also theirmode of production radically differs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rand laborers (or better, draftsmen) in the late-capitalist industry.
    In LeWitt’s principle, the immaterial concept is much important than itsmaterialization, collaborative production is preferred to an exclusive author,and multiple potentials through improvisational and insightful choices ishighly regarded than a finalized product. I argue that this collaborative modeis far from ‘administration’ of the previous century, but is associated with thealternative mode based on collective creativity, which departed from the limitsof modern idea of originality monopolized by an authoritative individu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