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아의 신체 표현 활동을 위한 손놀이 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 분석 (The Effect of Applying a Hand Game Program to Young Children's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6.11
23P 미리보기
유아의 신체 표현 활동을 위한 손놀이 프로그램의 적용과 효과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과학기술 / 12권 / 4호 / 53 ~ 75페이지
    · 저자명 : 황경선, 송미숙

    초록

    본 연구는 신체 표현 활동 향상을 위한 유아 손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효과를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입증하고, 현장의 유아 교육자에게 손놀이에 관련한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유아의 신체 표현 활동을 위한 손놀이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신체 표현 활동의 하위 영역인 동작의 다양성을 위하여 여러 가지 손뼉치기와 손놀이를 도입하였고, 방향성을 위하여 상․하․좌․우․전․후 손뼉치기 교육을 하였다. 시간성을 위하여 손뼉치기의 빠르기 변화를 점진적으로 다양하게 교육하였고, 흐름성을 위하여 또래와 협동하여야 하는 손놀이 교육을 통해 자연스럽게 다음 동작과 연결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표현성을 위해 재미있는 단어에 리듬을 붙여 보는 교육을 통해 의성어, 의태어를 비롯한 여러 가지 표현성이 향상하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구안한 유아 손놀이 프로그램 적용이 만 4~5세 유아의 신체 표현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사전․사후 검사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손놀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이 만 4~5세 유아의 신체 표현 활동에 주는 변화를 검증한 결과 신체 표현 능력의 점수가 12.60%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표현 능력의 모든 하위 영역도 손놀이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적용 전보다 동작의 다양성은 13%, 동작의 방향성은 13%, 동작의 시간성은 12%, 동작의 흐름성은 13%, 동작의 표현성은 12%가 상승하는 효과를 보였다. 동작의 다양성에 있어 프로그램 적용 전 유아들은 ‘나뭇잎’을 표현할 때 나뭇잎이 되어 정지한 채 몸을 흔들었지만, 적용 후 유아들은 나뭇잎이 바람에 흔들려 땅에 떨어지고, 손으로 구르는 표현을 하는 등 다양한 표현을 하였다. 동작의 방향성에 있어 프로그램 적용 전 유아들은 나뭇잎이 떨어지는 것을 표현할 때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만 표현했는데, 적용 후 유아들은 위, 아래, 오른쪽, 왼쪽, 앞, 뒤 등 다양한 방향 변화를 표현하였다. 동작의 시간성에 있어 프로그램 적용 전 유아들은 비눗방울을 표현할 때 일정한 속도로 움직였는데, 적용 후 유아들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기 보다는 빠르게 움직이거나 느리게 움직이며 비눗방울이 하늘을 나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동작의 연결성 며넹서 프로그램 적용 전의 유아들은 치약을 표현할 때 치약이 튜브에서 나오는 모양만을 표현했는데, 적용 후 유아들은 서로 역할을 부여하기도 하고 표현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유지하며 앞의 동작을 다음 동작과 연결하였다. 동작의 표현성에 있어서 프로그램 적용 전 유아들은 비눗방울을 표현할 때 둥그런 원을 그리는 것이 대부분인 반면, 적용 후 유아들은 비눗방울이 점점 커지거나 작아지는 것을 표현하였고 협동하여 큰 비눗방울을 만들기도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할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손놀이 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 표현 능력에 유의미하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hand game program for young children to improve their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prove its effect through pre-test and post-test, and provide early childhood educators with effective information related to hand games. For the development of a hand game program for young children's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various clapping and hand games were introduced for the variety of activities in th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e children were taught to clap up, down, left, right, forward, and backward for the sense of directions, and the speed of clapping was varied for the sense of time. They were also taught to proceed to other actions through cooperative hand games with peers for the sense of fluidity. The program also involved applying rhythms to fun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for the sense of expression.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of pre-test and post-test on how the young children's hand game program of this study affected the physical expression skills of children in 4-5 years of age.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how the hand game program affects the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of children in 4-5 years of age, the physical expression skills improved by 12.60%. All sub-factors of physical expression skills also improved with the hand game program; in detail, variety improved by 13%, direction by 13%, sense of time by 12%, fluidity by 13%, and expression by 12%.
    In terms of variety, the children simply shook their body to express 'leaves' before the program, but they also expressed falling to the ground and rolling on the ground after the program. In terms of direction, the children simply expressed falling down for the leaves before the program, but they also expressed falling down, to the right or left, forward and backward after the program. In terms of time, the children moved at a consistent speed to express bubbles before the program, but they moved faster or slower to express the bubbles flying in the air after the program. In terms of fluidity, the children simply expressed the toothpaste coming out of the tube before the program, but they assigned roles to one another and smoothly linked the expression to other movements after the program. In terms of expression, the children mostly drew circles to express bubbles before the program, but they expressed the bubbles getting bigger or smaller or cooperated with one another to make big bubbles after the program. Based on the above findings, it has been proven that the hand game program is significant for the children's physical expression skil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과 과학기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