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렁덩덩 신선비>와 <두꺼비 신랑> 속 ‘허물’과 ‘아내 고행’의 의미 ― 동물 토템에서 기인한 가부장제로의 이행을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exuviae’ and ‘a wife penance’ in and ― Focusing on the transition from animal totem to patriarchal system)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10
29P 미리보기
&lt;구렁덩덩 신선비&gt;와 &lt;두꺼비 신랑&gt; 속 ‘허물’과 ‘아내 고행’의 의미 ― 동물 토템에서 기인한 가부장제로의 이행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온지학회
    · 수록지 정보 : 온지논총 / 69호 / 111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용선

    초록

    동물과 사람의 오랜 관계는 구전설화에서도 즐겨 다루는 주제의 하나이다. 설화 속 이물은 대체로 동물이며 이물교혼은 동물과 사람 간의 혼인을 다루는 서사로서 <구렁덩덩 신선비>와 <두꺼비 신랑>은 남성 배우자가 이물 즉 동물이다. 동물 신랑과 사람 각시가 만나 부부가 되는 이야기. 두 서사는 나란히 이물교혼을 다루며 비슷한 서사구조를 갖추고 있다. 아이를 갖기 어려운 부모나 노파가 구렁이 아들, 혹은 두꺼비 아들을 얻고 이웃집 세 딸 중 막내딸과 혼사를 이룬다. 첫날밤 동물신랑은 허물을 벗고 미남자가 되며 아내에게 허물간수를 부탁하고 멀리 떠난다. 언니들의 방해로 허물을 태우자 냄새가 신랑에게 닿고 신랑은 새 각시를 만난다. 아내는 남편을 찾아 떠나 고행을 겪고 끝내 두 처가 겨루어 아내는 집 나간 남편과 재결합 한다. 여기까지 구조는 두 서사 모두 동일하나 <두꺼비 신랑>의 경우 동물 신랑이 처가로부터 시험을 겪는 각 편이 있다는 차이가 있다. 두 설화는 모두 민담의 구조를 고스란히 갖추고 있다. 말하는 동물과 이를 놀라워하지 않는 사람. 성과 속의 세계는 평면적 서사 세계에 함께 놓여 있고 교차된다. 민담 속 구렁이와 두꺼비는 고대의 동물 토템 흔적을, 변신과 혼인의 과정은 민간 신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처가에서 남편 가정으로의 서사 공간이 이동되고 아내의 입장이 남편의 시험과정을 통해 승인된다는 점에서 두 서사는 모권제에서 가부장제로의 이행을 서사적으로 드러낸다. ‘허물’은 신성성의 탈각이며 아내의 고행은 동물 토템에의 숭배를 상징하는 것으로 읽힌다. 두꺼비 신랑의 처가 승인 과정은 일종의 변이형으로 이물의 비범한 능력을 과시하는 무대로 활용된다. 이는 동물 토템이 인간보다 열등한 존재이기보다 도리어 우월한 입장인 ‘신격’에 놓여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두 민담은 토템과 민간 신격의 흔적, 그리고 가부장제의 학습을 남편의 ‘허물’과 아내의 ‘고행’을 통해 전승한다.

    영어초록

    The long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s is one of the topics that are often treated in oral folktales. The monsters in the narrative are generally animals, and foreign body marriage is a narrative dealing with marriage between animals and humans. The male spouse is a foreign object, or animal, in <Gureongdeongdeong Sinseonbi> and ‘Toad Bridegroom’. This is a story of an animal groom and a human bridegroom’s meeting and becoming a couple. The two narratives deal with marriage between man and animal side by side and have a similar narrative structure. A parent or old woman, who is difficult to have children, gets a snake son or a toad son, and marries the youngest of the three daughters in the neighbor's house. On the first night, the animal groom takes off his skin and becomes a handsome man, asks his wife to keep his skin exuviae, and leaves far away. When the exuviae is burnt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older sisters, the burning smell reaches the bridegroom and the groom happens to meet a new bridegroom. The wife leaves for her husband, suffers adversities, and eventually the two wives compete, and the original wife reunites with the husband who left the house. The structure up to this point is the same for both narratives,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ase of <Toad Bridegroom>, the animal groom undergoes a test from his wife's family. Both stories have the typical structures of folktales intact. The typical structures are that animals talk and people do not surprise at them. The worlds of the sacred and the profane lie together and intersect in the flat narrative world. In folklore, the snakes and toads capture the traces of ancient animal totems, an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marriage captures the traces of folk myths. The two narratives narratively reveal the transition from the motherhood system to the patriarchal system in that the narrative space moves from the wife's family to the husband's family and the wife's position is approved through the husband's examination process. The “exuviae” is read as a symbol of the renunciation of divine nature, and the wife's asceticism symbolizes the worship of animal totems. The approval process of the toad bridegroom's wife is used as a stage to show off the extraordinary ability of a foreign body as a kind of variant. This indicates that animal totems are in a superior position rather than being inferior to humans, which is a “godliness”. The two folktales pass on totems, traces of the folk deity, and the learning of patriarchy through the husband's “exuviae” and the wife's “pe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온지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