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왜란의 참상과 열녀 이미지의 관습화-『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열녀편을 중심으로 (The Misery and Violence of the Imjin War and the Conventionalization of Virtuous Women’s Images: Focusing on the Virtuous Women Section of the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12
42P 미리보기
임진왜란의 참상과 열녀 이미지의 관습화-『동국신속삼강행실도(東國新續三綱行實圖)』 열녀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78호 / 235 ~ 276페이지
    · 저자명 : 유재빈

    초록

    『동국신속삼강행실도』(1617)는 임진왜란 후 문란해진 윤리적 기강을 바로잡고 민심을 격려하는 차원에서 편찬되었다. 이전의 『삼강행실도』(1434), 『속삼강행실도』(1514)가 유교 윤리를 정착시키기 위한 교훈서로서 제작되었다면 『동국신속삼강행실도』는 임진왜란 후 정려자를 포상하고 위무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동국신속상감행실도』의 열녀편의 판화를 중심으로 전쟁 중 여성에게 가해진 잔인한 폭력성의 내용과 이를 서술하는 전형화되고 형식화된 방식 간의 간극에 대해 살펴보았다. 글과 그림이 형식화된 데에는 단시간에 대규모 출판을 진행해야 했던 제작상의 이유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더 근본적으로는 전쟁 중의 열행이 남편에 대한 절의, 그중에서도 성적 종속성-‘정조’에만 집중된다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포로’ 도상과 여성 피로인에 대한 인식, ‘아기도상과 엄마의 자결’ ‘공동자결과 대량학살’ ‘여성의 전쟁 참여와 그 재현의 부재’ 등을 다루면서 전쟁의 재현과 실상에 대해 접근하였다. 당시 왜적에게 납치되어 포로가 되거나 왜적의 피해를 입은 마을의 여성은 ‘실절’한 여성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강했다. 살아남아도 사회적으로 배제와 차별을 면하기 어려웠다. 아이와 함께 혹은 온 가족의 여성이 공동 자결하는 경우도 많았다. 여성의 전쟁 참여와 공훈이 적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동국신속』에는 거의 재현되지 않았다. 이러한 사례들은 여성의 열행이 ‘정조’를 지키는 의식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다시 말해 실절 여성에 대한 차별이 역으로 열녀 정려의 폭증으로 이어졌고, 이것은 정려 기준에만 맞춘 형식적인 기록으로 남았다고 할 수 있다. 전쟁 후 여성들은 각자의 고통으로 신음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개인적인 서사를 갖는 대신 전형화된 명예를 갖는 방식으로 기록되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1617) was compiled as an effort to restore moral discipline and encourage the people after the misery and disorder following the Imjin War. While previous texts, such as the Samgang haengsildo (1434) and the Sok samgang haengsildo (1514), were created to instill Confucian ethics, the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functioned to reward and console those who displayed exemplary loyalty after the war. This study examines the gap between the brutal violence inflicted on women during the war, as depicted in the virtuous women’s section of the woodcuts, and the standardized, conventionalized manner in which these acts were narrated. The formalized presentation of text and image may partly result from the need to expedite large-scale publication. More fundamentally, however, it reflects the focus on women’s chastity, particularly sexual fidelity to their husbands, as the defining feature of virtue in wartime.
    The study explores imagery such as the "captive" iconography, societal perceptions of women captives, "the mother’s suicide with her child," "group suicides and massacres," and "women’s participation in war and its lack of representation." Women abducted or victimized by Japanese invaders were often stigmatized as "defiled," facing societal exclusion even if they survived. It was common for women to commit group suicides with family members, including children. Despite significant female contributions in the war, Dongguk sinsok samgang haengsildo scarcely depicted these acts. These cases underscore how the concept of female virtue became narrowly focused on preserving chastity. In other words, the discrimination against "defiled" women led to a surge in records of virtuous women, but these records remained as formal, standardized narratives. After the war, women suffered individually from their trauma, yet their experiences were recorded in conventional terms of honor rather than as personal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