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10년대 유학생 소설 속에 드러난 지식과 젠더의 상관관계-이광수와 나혜석의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A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gender revealed in novel which are included in 1910s literary magazines for students studying abroad.)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09.06
32P 미리보기
1910년대 유학생 소설 속에 드러난 지식과 젠더의 상관관계-이광수와 나혜석의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38호 / 213 ~ 244페이지
    · 저자명 : 서은경

    초록

    근대 초기 일본을 통해 서구의 문명과 교육을 받아들인 유학생들에게 지식은 곧 권력이 되었지만 이러한 지식권력은 남성과 여성에게 동등하게 작동하지 못했다. 남성 유학생들에게 지식은 곧 권력을 의미했지만 여성 유학생들에게 지식은 권력이 되지 못했다. 따라서 지식 권력을 갖지 못한 여성 유학생들은 지식인으로서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방법에 있어서 남성 지식인과 차이를 보였다. 본고에서는 1910년대 대표적 유학생 잡지인 『학지광』과 『여자계』에 실린 이광수와 나혜석의 소설을 통해서 성차에 따라 지식이 권력화되는 양상에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1910년대 당시 자유연애의 문제는 근대와 지식, 젠더가 만나는 복합적인 담론의 장이었다. 봉건적 유교 질서 내에서 자신의 감정을 직접 표출하고 그 감정에 따라 배우자를 선택하는 혼인은 불가능했다. 조선의 모든 것과 절연하고 서구 문명에 대한 동경과 그 실천으로 새로운 자기를 세우려는 지식인들에게 ‘연애’는 ‘근대’를 사는 한 방법이었다. 「규한」에서 ‘자유의사’와 ‘법률’을 내세워 배움이 없는 구여성을 박정하게 내치는 남성 지식인의 무정함이나 「크리스마슷밤」에서 근대인이 되고자 하는 의식이 가동시킨 ‘사랑’에 대한 과도한 몰입은 연애의 장 속에 드러난 남성 유학생들의 권력 표출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여성 유학생이 등장해 연애와 결혼의 문제를 다룬 나혜석의 소설들은 지식과 젠더가 만나 달리 형성되는 권력 관계를 보여준다. 지식과 남성의 결합은 권력이 될 수 있지만 지식과 여성의 결합은 봉건적 생활이 여전한 조선 사회에서 오히려 부정의 대상이 되었다. 여성 유학생들은 지식인 남성에 의해 타자로 억압될 뿐만 아니라 같은 성(性)인 조선의 구여성으로부터도 배척을 받는 이중적 질곡에 놓인 존재들이었다. 따라서 이중적 억압의 시선에 직면한 유학생 ‘경희’는 남자 유학생들과 달리 무식하고 미개한 조선인들과 얼마나 다른가를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구여성의 일상 속에서 그들과 소통하는 가운데 여자로서의 자각과 근대 지식의 중요성을 제시한다. 나혜석의 또 다른 소설 「회생한 손녀에게」는 여자 유학생이 조선의 모든 여성들을 위한 심정적 할머니로서의 마음을 담은 것이다. 이 역시 조선인들과 소통하는 가운데 지식인으로서 존재 증명을 해 나갔다는 점에서 남자 유학생이 등장하는 소설에서 볼 수 있는 지식인으로서의 과도한 감정의 드러냄이나 민족에 대한 시혜와 같은 우월 심리로 존재를 드러내는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인다.

    영어초록

    To students who studied abroad in the 1910s, modern knowledge meant power. But the power didn’t work equally between men and women. So, women students who studied abroad had the difference to show their identification as an individual. This paper contemplated on an aspect of gender revealed in novel which are included in 1910s literary magazines for students studying abroad.
    In the 1910s, free love was a complex discussion field to meet modern knowledge and gender. In the existing feudal system, it was not possible to reveal their feeling directly and aspire choosing their spouse at their will.
    For students wanting to be intelligent based upon knowledge beyond the uncivilized country Chosun, free love was the method to live as a modern people. In lee, kwang soo’s novel, male students who studied abroad ignored uncivilized women in Chosun and refused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m and ignorant women.
    Meanwhile, Na, hye suk’s novel revealed that in love and marriage, it is interesting to see unequal power relationship on meeting knowledge and power. While knowledge linked with men meant power, knowledge linked with women in the existing feudal system resulted in a negative way. In Na, hye suk’s novel, women students studying abroad struggled to communicate and understand uncivilized women in Chosun, and furthermore did not try to show their superiority by giving charity for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