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마크 C. 테일러(Mark C. Taylor)의 ‘Erring’ 개념에 대한 선교학적 의미 - 『Erring』속 성서 본문 세 가지를 중심으로 - (The missiological meaning of ‘Erring’ in Mark C. Taylor’s book: Erring: A Postmodern A/Theology - by using three bible passages in Taylor’s writing -)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1.09
26P 미리보기
마크 C. 테일러(Mark C. Taylor)의 ‘Erring’ 개념에 대한 선교학적 의미 - 『Erring』속 성서 본문 세 가지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105권 / 59 ~ 84페이지
    · 저자명 : 전사하

    초록

    본 논문은 포스트모던 신학자 Mark C. Taylor의 대표적인 저작 Erring: A Postmodern A/theology에 나타난 해체적 비(非)신학을 선교신학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테일러의 저작에서 직·간접적으로 언급되고 있는 세 가지 성서 본문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을 재구조화하여 설명하였다. 씨 뿌리는 자의 비유(마가복음 4장 3-9절)를 통해서 신 죽음과 주체의 소멸을 설명하였고 근대적 선교 주체의 죽음과 소멸을 통해 구현되는 온전한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또한 엠마오의 도상 사건(누가복음 24장 13-35절)을 통해서는 테일러가 주장한 현존(presence)와 부재(absence) 사이에서 출현하는 경계의 비신학을 설명하였다. 이것은 미래의 선교신학이 사유해야 할 것으로, 존재론적인 이분법적 사유의 틀에서 벗어나 경계와 사이의 공간에서 제3의 해방적 공간을 출현시켜야 함을 주장하였다. 혼종성(hybridization)이 창출되는 사이(Between)에서의 선교신학이 성과 속, 하나님의 나라와 세속적 세계, 신앙과 불신의 사이에서 표류하고 방황하는 현대인들에게 기독교 복음을 새롭게 이해시키는 의무를 가진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시작, 기원, 고정성을 떠난 탈존재론적 모험의 상태를 ‘Erring’의 상태, 즉 방황과 방랑의 상태로 규정하면서 이러한 상황 속에 출현한 신적인 것을 성서의 이스라엘 출애굽의 서사 속에 나타난 신의 은총과 섭리를 통해 설명하였다. 이는 미래의 선교신학이 탈존재론적 모험을 위해 기획, 목적, 의도에서 벗어나 비종결적 방향성으로 나아갈 때야 비로소 진정한 신적 은혜가 출현 됨을 테일러의 주장에 기대어 논증하였다. 결론에 이르러 ‘Erring’을 통해 나타나는 놀이와 유희의 개념이 축제로서의 선교의 개념으로 접목되어야 함을 또한 주장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bout the concept of “Erring”, articulated in Marck C. Taylor’s most influential book, Erring: A Postmodern A/Theology. The article argues that the concept of Erring can be meaningfully influential in shaping current mission paradigms required for change in the secular world. Erring, as introduced in A/Theology, is explained to be an important theological concept for both those who are spiritual atheists and dissatisfied theists. Therefore, this article seeks to connect the concept of Erring and missiology in order to go beyond the ontological tradition that Christianity has been deeply based upon. This article recaptures and reconstructs the concept of Erring by using three bible passages in Taylor’s writing which are Mark 4:3-9 (The Parable of the Sower), Luke 24:13-35 (The Walk to Emmaus) and the Exodus story. Disappearing subjectivity, the recognition of betweenness, marginality, divine aspects of rootlessness and wandering that can open unexpected and undetermined elements of life, such as grace, are explained. This article concludes philosophically that mission as a carnival of spontaneous and unintentional joyfulness, as the concept of Erring prescribes, should be considered for a new paradigm of missi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