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화 <떡보와 사신> 속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의미 - 한‧일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The Meaning of Tian Yuan Di Fang in the Folktale Ddeok-bo and the Envoy: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Folktale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5.04
28P 미리보기
설화 &lt;떡보와 사신&gt; 속 천원지방(天圓地方)의 의미 - 한‧일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이화어문논집 / 65호 / 125 ~ 152페이지
    · 저자명 : 강혜진

    초록

    본고에서는 천원지방 관념이 나타나는 특이한 설화 유형으로서 <떡보와 사신>에 주목하고, 그것이 나타나게 된 배경과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했다. 천원지방 관념은 <떡보와 사신>에서 펼쳐지는 수문답의 한 문항으로 등장한다. 따라서 천원지방 관념의 등장 이유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서는 수문답과 그에 따른 대결 구도를 먼저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이 이야기의 세계적인 분포와 양상을 살펴본바, 어느 나라의 이야기에서든 공통적으로 대등한 자들의 대결이 아닌, 강자와 약자의 대결 구도가 나타나고 있었다. 일반적으로 강자와 약자의 대결은 성립되기가 어려우나, 수문답이 이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 작용했다. 언어에는 위계질서가 반영되어 있는데, 그러한 언어를 배제한 대결 방식이 수문답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중국 사신이라는 지배 이념상의 최강자와, 떡보라는 최약자 간의 대결 구도가 나타났고, 각각이 표상하는 지배적 세계관과 민중적 세계관이 동시에 드러나게 되었다.
    천원지방 관념은 바로 이 지배적 세계관을 집약해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는 중국을 중심으로 상정하는 성리학적 세계관과 호응할뿐더러, 그 상징성과 의미 면에서도 지배층의 이상과 부합했다. 원형의 하늘은 둥근 천체들이 속한, 완전한 근원으로서 상징성을 지닌다. 반면에 방형은 평평하고 안정적이며 무거운 땅의 모습을 표현하기에 적절했다. 특히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하늘과 땅의 관계였다. 둘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상상될 필요가 있었다. 서로 다른 기운이 존재해야 변화가 촉발되며, 세계를 움직여 나가는 원동력이 생겨나기 때문이다. 단, 이때 변화란 조화와 질서 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 옛사람들은 생각했다. 그것이 둥근 하늘, 그리고 불규칙한 파편이 아닌 직선으로 이루어진 방형의 땅으로 우리 세계가 상상되었던 이유다.
    일본의 이야기에서도 둥근 손 모양으로 수문답이 시작되고 있어 <떡보와 사신>의 좋은 비교 대상이 되어준다. 다만 수문답의 의도와 해석이 다르다. 일본의 수문답에는 일본의 지배 이념인 신토와 불교가 반영되어 있어, 태양이 세계를 비춘다는 점이 표현되고 있다. 그 점에서 천원지방이 우리 세계관의 특색을 잘 반영한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지배층의 세계관은 어느 나라의 이야기에서든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성격을 띤다는 점도 함께 확인하게 된다. 지배층의 세계관과 달리 민중의 세계관은 보다 즉물적이고 현실적이다. 이렇듯 서로 다른 두 세계관을 함께 음미할 수 있다는 점에서 <떡보와 사신>은 주목할 가치가 큰 이야기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folktale Ddeok-bo and the Envoy as a distinctive narrative type reflecting the concept of Tian Yuan Di Fang (round heaven and square earth). It analyzes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its emergence. The concept appears in the form of a riddle contest within the tale. Thus, to understand its presence, it is first necessary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contest and its implications. This tale is widely distributed across different cultures, and in every version, it consistently portrays a struggle not between equals but between a dominant and a subordinate figure. In the Korean adaptation, this archetypal conflict materializes as a contest between a Chinese envoy and Ddeok-bo. Given that Neo-Confucian ideology was the ruling philosophy of the Joseon Dynasty, the Chinese emperor was perceived as the ultimate authority. Consequently, the envoy, as the emperor’s representative, naturally appeared in the folktale.
    Typically, a direct contest between a dominant and a subordinate figure is difficult to establish, but the riddle contest in Ddeok-bo and the Envoy serves as a device that makes it possible. Since language inherently reflects hierarchical structures, a contest that excludes linguistic dominance allows for a confrontation on equal footing. As a result, the tale presents a struggle between the most powerful figure within the ruling ideology—the Chinese envoy—and the weakest member of society—Ddeok-bo. This opposition simultaneously reveals the worldview of the ruling elite and that of the common people.
    The concept of Tian Yuan Di Fang is significant in that it encapsulates the worldview of the ruling class. The circular form of heaven symbolizes a perfect and primordial origin, while the square shape of the earth, being stable and heavy, aptly represents the ground. However, the most crucial aspect of this concept l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earth. The two were imagined in contrasting forms because differences in nature were believed to generate change, driving the dynamics of the world. Yet, this change was thought to occur within the bounds of harmony and order. This belief explains why the world was conceptualized as a round heaven and a square earth, rather than an irregular, fragmented space.
    Japanese folktales also feature riddle contests that begin with circular hand gestures, making them valuable points of comparison. However, their intent and interpretation differ. In Japanese narratives, elements of Shinto and Buddhism—the country’s dominant ideologies—are embedded, emphasizing the notion that the sun illuminates the world. This comparison reaffirms that Tian Yuan Di Fang uniquely reflects the Korean worldview.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at the worldview of the ruling class tends to be abstract and ideological across cultures, whereas that of the common people is more pragmatic and tangible. The ability to appreciate these contrasting perspectives within a single narrative makes Ddeok-bo and the Envoy a folktale of significant analytical val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화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