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침묵 속에 드러난 무의식의 욕망, 그리고 그 치유 공간 - 『당신들의 천국』의 인물 중심으로 (Unconscious desire revealed in silence and the healing space - A central figure in the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5.10
30P 미리보기
침묵 속에 드러난 무의식의 욕망, 그리고 그 치유 공간 - 『당신들의 천국』의 인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학치료연구 / 37권 / 321 ~ 350페이지
    · 저자명 : 김경순

    초록

    『당신들의 천국』에는 무의식의 욕망으로서의 공간이 자리한다. 그곳의 나환자들은 ‘한 인간으로서의 삶’이 가능한 그런 공간을 원했다. 그러나 그 나환자들에게 천국을 만들어주고 싶어 하는 조원장에 의해 의도되고 설계된 공간은 그렇지 못했다. 그래서 조원장이 건설한 공간은 나환자들에게 있어서 ‘당신들의 천국’일 뿐이다. 이러한 공간에 대한 욕망은 조원장, 혹은 나환자들에게 각각의 다른 언어로 표출된다. 먼저 조원장의 언어는 턱없이 높고 강한 언어다. 그의 언어는 나환자들의 내면을 짓누르는 억압의 기제로 사용된다. 그에 비해 나환자들의 언어는 무섭도록 집요한 침묵, 바다 밑처럼 무겁고 커다란 침묵이었다. 이러한 나환자들의 언어는 거대한 덩어리가 되어 조원장을 압박한다. 소록도의 나환자들은 과거의 상처에 더하여 지금-현재도 끊임없이 상처받는 삶을 산다. 무의식적으로 정상인에 대한 불신이 있다. 그것은 늘 배반당해 왔기 때문이다. 그들의 내면 공간이 상처를 기억하고 있으므로 화해의 상황으로 잘 나아가지 못한다. 그들은 끊임없이 전임자의 폭력과 횡포를 기억하고 마음의 문을 닫는다. 나환자들의 이러한 상처는 침묵의 언어로 절규하게 한다. 이 둘 사이를 냉철한 시선으로 감시하는 미감아 이상욱의 언어는 보다 논리적이며 분석적이다. 그러나 그 역시 자신의 상처를 부여안고 놓지 못한 채, 조원장을 향한 감시의 시선을 늦추지 않는다.
    소설의 후반 이상욱이 조원장에게 보낸 간곡한 편지로 우리는 치유의 가능성을 가정할 수 있다. 이 편지를 통해 조원장은 나환자들의 거대한 땅 속 같은 그 침묵의 소리를 듣게 된다. ‘환자’로서의 처지와 인간으로서의 보편적 삶을 동시에 두 겹으로 살아가는 나환자들에 대하여, 그들의 탈출에 대하여, 또 원장과 원생들의 지배질서에 대한 긴 편지다. 조원장은 그 긴 편지를 읽고서야 비로소 나의 세계 너머 보다 깊은 본질을 바라보는 시각을 회복한다. 이것은 정신과 영혼의 회복으로 연결된다. 마침내 소록도에서는 조원장의 주선으로 건강인과 원생 사이의 정식 결혼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조원장은 주례연습을 한다. 서로 다른 언어로 충돌하던 소록도라는 공간은, 두 사람의 결혼으로 환자나 건강인의 구분 짓기나 구별됨이 없는 한 ‘인간’으로서의 삶이 가능한 공간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 것이다. 이들 언어의 변화과정은 치유적 소산의 단초가 된다. 음성 환자 윤해원이 정상인과 결혼하겠다는 생각 자체가 치유적 소산 없이는 가능한 일이 아니다. 이 한 사람의 치유적 행위는 소록도 모든 환자들이 치유적 소산이 가능한 과정에 놓여 있다고 봐도 좋겠다.

    영어초록

    Space is an unconscious desire in <Your Paradise>. The lepers there want a space in which they can live as human beings. The space built by Cho is “the paradise of yours.” The desire for such a space is differently expressed by each conversation between the director and the lepers. First, Director Cho’s speech has an exceptionally high moral tone. His words are used to suppress the thoughts and feelings of the lepers. By comparison, the words of the lepers are like the loud silence at the bottom of the sea. The lepers in Sorokdo live lives of continuous suffering, even more than in the past. They are apt to be resistant to change because their inner selves remember the scars. Their scars force them to cry with words of silence. Lee Sang-ook, a child not infected with leprosy, watching both sides with a cool-headed view, is more logical and analytical. But even he is connected to the pain of the community. We can conceive of the possibility of healing from Sang-ook's earnest letter to the director. Through the letter, director Cho is able to hear the silent words of the lepers that seem like massive ground. The director finally recovers the ability to see something greater than just his own world, leading to a recovery of mind and spirit. When a non-disabled resident of the island marries a disabled patient, Sorokdo, where two different languages had collided, becomes a space where disabled and non-disabled are not differentiated nor distinguished and can live simply as human beings through their marriage. The process of change becomes a trigger of the healing process. It is not possible for Yun Hae-won, a negative patient, to marry a non-disabled person without going through a healing process. It can be said that all the patients in Sorokdo are becoming capable of experience of catharsis this one person's healing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학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