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기어 속에 내재된 농촌과 어촌의 생태민속 비교-민속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cological Folklore Reflected in Taboo Language of Agricultural Regions and Fishing Villages-Focusing on Sustainability of Folk Culture-)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8.12
25P 미리보기
금기어 속에 내재된 농촌과 어촌의 생태민속 비교-민속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교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민속학 / 67호 / 9 ~ 33페이지
    · 저자명 : 박환영

    초록

    본 논문은 금기어 속에 내재되어 있는 농촌과 어촌의 생태민속을 비교해 봄으로써 주어진 자연환경을 소중히 여기면서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려는 민중들의 상생과 공생의 생태문화와 민속문화의 지속가능성을 고찰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농촌과 어촌지역의 일상적인 생활문화 속에서 발굴할 수 있는 금기어를 민속학의 시각에서 분석하여 금기어 속에 내재되어 있는 친환경문화인 생태민속을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생활문화의 현장에서 수집된 금기어를 중심으로 농촌과 어촌의 생태민속을 민속문화의 지속가능한 발전이라는 측면에서 비교 분석해 보면 공통적으로는 인간과 주어진 자연환경 사이의 공존과 상생에 대한 내용이 많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서, 금기어 속에 내재된 농촌의 생태민속은 친환경적인 농업에 대한 강조와 적절한 시간과 절기에 맞는 순환적 자연질서에 순응하는 농업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비하여 금기어 속에 내재된 어촌의 생태민속은 바다와 같은 자연환경에 대한 경외심과 자연환경의 보호에 대한 내용, 바다에서의 신성한 어업행위와 음식금기 그리고 출어를 앞두고 행하여야 하는 언행 및 행위에 대한 금기가 두드러진다.
    또한 농촌지역과 어촌지역의 금기어는 부분적이지만 생태민속이 지향하는 친환경적이고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는 민속문화를 지속가능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어촌지역의 금기어에는 통사적 금기어 외에도 특정한 어휘나 언어표현을 꺼리는 금기어 즉 완곡 표현의 내용도 많이 들어 있다. 즉 어촌지역의 금기어 중에서 ‘배를 타면 피, 뱀, 소, 시체 등을 직접 부르지 않는다’ 속에는 ‘---하면 불길하다’와 같은 통사적 금기어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서 피는 ‘고운기’, 소는 ‘노랭이’, 시체는 ‘재수 없는 야인’, 뱀은 ‘긴 것’, ‘대맹이’, ‘긴놈’ 등으로 에둘러서 간접적으로 말하는 완곡어법도 많이 기술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반면에 농촌지역의 금기어가 주로 조건절과 결과절을 가진 통사적 금기어이다. 따라서 농촌의 금기어는 통사적 금기어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어촌의 금기어는 통사적 금기어와 완곡 표현을 가진 금기어로 구성되어 있어서 민속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 좀 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comparing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concerning taboo terms and phrases. Taboo terms used in agricultural regions and fishing villages often reflect ecological folklore. Also those taboo terms emphasize the coexistence and symbiosis of the villagers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nature.
    Some findings and cultural interpretations of taboo terms in both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re as followed. Firstly, the ecological folklore of agricultural regions embedded into taboo phrases is about not only eco friendly agriculture but also about the circulating system of nature. Secondly, the ecological folklore of fishing villages is sligh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agricultural villages. For instance, fishermen have taboo terms for their feeling of awe toward nature, for reservation of nature, sacred fishing activity, avoiding special food and particular words for restrictive behaviour before sailing out.
    However both in agricultural regions and in fishing villages taboo terms play a partial role to sustain folk culture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eco friendly environment as well as observance of the cycle of nature. Furthermore, in fishing villages, there are not only morphological taboo phrases but also many kinds of euphemistic words. Some of euphemistic words in the fishing villages are ‘goungi (blood)’, ‘noraengi (cow)’, ‘long creature (snake)’, ‘unfortunate wanderer (corpse)’, etc. In comparison, morphological taboo phrases are mainly used in agricultural villages. Hence,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taboo words and phrases in fishing villages are more actively used and have a more constructive function than those of agricultural vill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