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어 한자어 속 俗音의 양상과 유형 분류 -≪표준국어대사전≫ 수록 ▽ 표시 한자어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Pattern and Type Classification of Common Sino-Korean in Korean Chinese Vocabulary -Targeting the ▽ Marked Sino-Korean in Korean Chinese Vocabulary Included in the Pyojungugeo daesajeon)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4.06
56P 미리보기
국어 한자어 속 俗音의 양상과 유형 분류 -≪표준국어대사전≫ 수록 ▽ 표시 한자어를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학회
    · 수록지 정보 : 國語學 / 110호 / 163 ~ 218페이지
    · 저자명 : 이준환

    초록

    이 글은 ≪표준국어대사전≫에 실린 한자어 및 한자어를 구성 요소로 안고 있는 혼종어를 대상으로 <한글 맞춤법> 제52항과 관련되는 한자어 속의 속음이 얼마나 있고 어떤 유형으로 분류되고 어떤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는 것인지 살펴보려는 것이다. 속음을 포함하고 있는 어휘는 모두 813개가 있는데 여기에서 보이는 속음은 모두 212개이다. 속음 중에서 자립성을 가진 1음절 한자어로 쓰인 것은 3개뿐이며 나머지 810개는 다음절 어휘에서 쓰인다. 위치상 비어두에서만 존재하는 속음은 131개이고, 이런 속음을 포함하는 한자어의 개수는 737개 정도에 달해 속음은 비어두에서의 쓰임이 압도적이다. 혼종어 속에서 보이는 속음은 전체 어휘의 29.88%에 달한다. 속음을 포함하는 어휘 중 전문어인 것은 『역사』, 『불교』, 『식물』, 『의학』, 『건설』, 『지명』, 『한의』, 『민속』 등에서 상위의 분포를 보였는데, 이들 분야 어휘는 다른 분야의 어휘 형성에 참여하는 것들이 많아 속음의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속음은 경음화를 보이는 것, 일반적 유통음과 비교하여 평음과 격음의 교체를 보이는 것, 후설 고모음화와의 관련성이 의심되는 것, 비어두에서 본음이 아닌 /ㄹ/ 관련 속음을 지니게 된 것, 구개음화, 전설 모음화와 관련한 것, 종성 탈락 현상을 보이는 것 등으로 묶어 국어 음운론적으로 어느 정도 유형화하여 볼 수 있다. 끝으로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속음이 실려 있지만 속음 관련 정보가 ‘纛▽[둑]’∼‘纛[둑]’과 같이 일관되게 처리되지 못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 일부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ow many and what types of common Sino-Korean there are in Korean Chinese vocabulary related to paragraph 52 of the Korean Spelling Law, and what characteristics can be considered for the Korean Chinese vocabulary and mixed words that contain Korean Chinese vocabulary in the Pyojungugeo daesajeon(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re are a total of 813 vocabulary words that contain common Sino-Korean, and the total number of common Sino-Korean seen here is 212. Among the common Sino-Korean words, only three were written in one-syllable Chinese characters with independence, and the remaining 810 are used in the next verse vocabulary. Due to its location, there are 131 common Sino-Korean words that exist only in the empty head, and the number of Chinese characters including these common Sino-Korean words reaches 737, making the common Sino-Korean more predominant in the empty head. The shorthand seen in the mixed language amounts to 29.88% of the total vocabulary. Among the vocabulary words containing common Sino-Korean, the vocabulary words show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historical field, Buddhist field, plant field, medical field, construction field, geographical field, Korean medicine field, folk field vocabulary in these field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common Sino-Korean as many participate in the formation of vocabulary in other fields. In terms of Korean phonological terms, common Sino-Korean can be grouped into showing hard and aspirated sounds, showing replacement of plain and aspirated sounds compared to general circulation sounds, suspected relevance to hussel high-pitched sounds, having a /ㄹ/-related shorthand sound that is not the main sound in the biardu, related to oral and legendary vowels, and showing the ending elimination phenomenon. By tying it up in this way, the formation of common Sino-Korean can be categorized into some degree in terms of Korean phonology. Finally, the Pyojun-gugeo daesajeon(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contains common Sino-Korean, but there are some information related to common Sino-Korean that have not been processed consistently, such as ‘纛▽[둑(duk)]’∼‘纛[둑(duk)]’, so it needs to be supplem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國語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