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 19 상황 속 이주배경청소년 생활실태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한 교회 지원방안 모색 (Seeking Support Plans of Church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in the COVID-19 Context)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22.06
15P 미리보기
코로나 19 상황 속 이주배경청소년 생활실태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한 교회 지원방안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회교육복지실천학회
    · 수록지 정보 : 교회교육·복지실천 연구 / 4권 / 1호 / 70 ~ 84페이지
    · 저자명 : 오혜정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 19 상황 속 이주배경청소년의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근거하여 이주배경청소년을 위한 교회의 지원방안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이주배경청소년의 개념과 현황, 그리고 이들의 발달과 삶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고 「2021년 이주배경청소년 실태조사」 결과를 토대로 이주배경청소년의 생활실태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먼저 신체적·심리적 건강 차원에서 이주배경청소년은 비(非)이주배경청소년 집단보다 신체적·심리적 건강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낮고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지역사회 환경 관련하여서는 이주배경청소년 하위 집단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부모와의 활동 빈도 및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탈북 및 탈북배경 청소년에게서 가장 낮았고, 사회적 지지인식은 국외 출생 청소년 집단에게서 가장 낮았으며, 지역사회 내 차별 경험 역시 국외 출생 청소년 집단이 상대적으로 많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업 및 학교생활 관련하여서는 이주배경청소년은 대체로 비(非) 이주배경청소년 집단보다 높은 학교생활 만족도를 보였고, 학교 수업이나 학원, 과외 수업 외에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이 많고 사교육 경험 및 사교육 시간은 적었다. 한편, 학업 및 학교생활에 있어 코로나 19로 인한 영향과 변화는 비(非) 이주배경청소년에 비해 크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원 경험과 욕구에 대하여는, 이주배경청소년은 하위집단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교과목 학습지도, 견학 및 체험 활동, 물적 지원, 멘토링 프로그램, 한국어 교육 등의 지원 경험이 많았고, 필요한 지원에 대하여는 취미여가 지원, 현금 지원, 학습 지원, 진로 지원 등의 욕구가 많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이주배경청소년에 대한 교회 지원방안을 유형별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는 맞춤형 지원, 중도입국 청소년에 대한 적극적 대응과 지원, 신체적·정신적 건강 지원, 기독교 세계관에 기반한 취미·여가 및 진로 지원의 네 가지로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in the COVID-19 context and to explore the support plans of church for these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preliminary studies on development as well as definition and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The study also examined the investigation results conducted in 2021, which showed the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As a result, first,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showed lower subjective perception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higher stress than adolescents without such a background. Secondly, different subgroups showed different patterns related to family and community variables, which appeared that both frequency of activity with parents and time spent with parents were the lowest in adolescents with a defector background from North Korea while social support perception and discrimination experience in community were the lowest in adolescents born abroad. Thirdly, regarding study and school life, adolescents with a migrant background showed higher school satisfaction. They spent more time in studying alone and less experience and time in private tutoring than non-migrant background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s of COVID-19 on study and school life were not significant compared to adolescents without migrant background. Finally, adolescents with migrant background had a lot of experience in study guidance, field trips and experiential activities, material support, mentoring program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for the necessary support, there were many needs such as hobbies and leisure support, cash aid, learning support, and career support.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proposed following suport plans of church - customized support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each subgroup, active response and support for migrant adolescents born abroad, supports for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supports for hobbies, leisures and career development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