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속의 회화와 죽음: 알렉산드르 소쿠로프의 <어머니와 아들>을 중심으로 (Paintings in Cinema and Death: Aleksandr Sokurov’s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7 최종저작일 2016.08
23P 미리보기
영화 속의 회화와 죽음: 알렉산드르 소쿠로프의 &lt;어머니와 아들&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 알타이지역 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러시아학 / 13권 / 67 ~ 89페이지
    · 저자명 : 이지연

    초록

    영화는 회화적 평면을 공간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시각장치로부터 출발한 장르이다. 사진의 정지된 시간은 영화에서 생명을 얻어 현재성의 환상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영화 고유의 장르적 특성과 한계를 생각해 볼 때 영화 속에 삽입된 회화적 평면이란 그 자체로 이미 영화의 암묵적 규범을 폭로하고 파괴하는 반(反)영화적 장치라 할 것이다. 현실의 등가물인 사진들이 영사막 위에서 되살아나 리얼리티를 만들어 내어야 하는 영화에서 사진도 아닌 그림이 정지된 화면으로 삽입되는 것은 매우 낯설다. 그러나 영화적 시간을 문제 삼는 현대 영화에서 이러한 낯선 방법론은 드물지 않게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현존하는 러시아의 대표적인 영화감독으로서 극영화 뿐 아니라 다수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한 알렉산드르 소쿠로프에게서 이러한 영화적 기법은 매우 특징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소쿠로프의 영화가 모방하고 있거나 혹은 영화 속에 삽입된 회화 예술의 의미와 기능을 고찰한다. 특히 소쿠로프의 두 작품 <속삭이는 페이지>와 <어머니와 아들>을 중심으로 회화적 재현을 다시금 재현하는 의도적인 장면들을 영화 안에 삽입하는 감독의 방법론이 그의 영화가 늘 천착해 온 주제인 죽음과 기억의 문제를 어떠한 방식으로 형상화하는지 살펴보려 한다. 영화 안에 흐르는 시간을 지연시키고 정지하게 하는 긴장감이 그의 영화의 에너지를 만들어 내며 그러한 정지된 시간들이 겹겹이 쌓인 시간의 박물관과도 같은 공간을 창조하게 하는바 <러시아 방주>나 <프랑코포니아> 같은 그의 최근작들은 영화적 시간의 가능성에 대한 감독의 미학적 신념의 자연스러운 결과로 읽힌다. 그러한 의미에서 소쿠로프에게 영화는, 그것이 죽음을 다루고 있을 때조차도 늘 시간을 봉인하는 영원한 현재성의 장르라 할 것이다.

    영어초록

    Paintings in Cinema and Death: Aleksandr Sokurov’s <Mother and Son> Lee, Ji Yeon This article explores the relations of cinema and painting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Russia’s most distinguished living film-maker Aleksandr Sokurov’s masterpiece <Mother and Son>. In the course of numerous interviews he exalted the bi-dimensionality and the flatness of the cinematic image, connecting it not only to the tradition of European classical paintings, but also the Byzantium religious icon. But if we consider the origin and evolution of cinematography, the flatness of image indicates just a regression of the genre. Then for what purpose did Sokurov adopt the bi-dimensionality of cinematic image? Is there any special esthetic strategy? This article analyzes the functions of pictures inserted into the filmic space, or the cinematic images imitating paintings. In <Mother and Son> time is suspended by virtue of cinematic images through its constant painterly references, which creates a sense of timelessness and endows the film a special matiere.
    The article consists of 3 parts: in the first part would be discussed general film theory on the relation of cinema and paintings; the second part is dedicated to the scrupulous analysis of Sokurov’s <Mother and son>; in the third part will be showed the existential meaning of memory inscribed on the pictorial image, which comes closer to the contemplative, absorbing regime of the ic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