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의 음성과 책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적 윤리 (God’s Voice and Responsibility: The Kierkegaardian Ethic in Levinas’s and Derrida’s Thought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0.12
28P 미리보기
신의 음성과 책임: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적 윤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28호 / 149 ~ 176페이지
    · 저자명 : 윤원준

    초록

    본 논문의 첫 번째 부분은 레비나스의 글 속에 나타나는 키에르케고르를 다루고 있다. 특히 키에르케고르와 레비나스의 생각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그들의 글들에서 발견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예들 중에 하나가 성경에서 나타나는 아케다(Akedah, 이삭을 제물로 바치기 위해서묶음) 사건에 대한 그들의 해석과 가능한 해석이다. 이 사건에 대한 그들의 해석의 차이를 통해서 레비나스가 이해하는 키에르케고르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논문의 두 번째 부분은 데리다의 생각 속의 키에르케고르이다. 많은 부분 데리다는 키에르케고르의 생각들을 받아들이지만, 또한 일정 부분 첨가와 수정을 가하려는 시도를 통해서 그의 해체적 관심을 보여준다. 데리다의 키에르케고르 분석 속에서도 아케다 사건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데리다의 아케다 사건에 대한 이해는 키에르케고르의 분석에 멈추지 않고, 레비나스에 대한 비판으로까지 나아간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두 부분(레비나스의 키에르케고르와 데리다의 키에르케고르)으로 단절되는 것이 아니고, 아케다 사건을 둘러싼 세사람(키에르케고르, 레비나스, 데리다)의 논의가 중첩되는 것처럼 보일것이다.

    영어초록

    Since Kierkegaard’s existential philosophy’s main target was Hegelian rationalism and the Hegelian Christianity, most of Kierkegaard’s writings were colored with religious concerns and antirational thought. Like Kierkegaard, some postmodern thinkers, such as Emmanuel Levinas and Jacques Derrida, show their interests in religious issues and challenge the modern foundationalism based on human reason. Also like Kierkegaard, Levinas and Derrida want to shake the human rational systems using the words God,transcendence, infinity, or the absolute Other, which interrupt and disturb this world. Despite those similarities, the differences among Kierkegaard, Levinas, and Derrida should not be ignored. For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concerning religious issues among them, one should examine their interpretations and the possible interpretation about the Akedah.
    For Kierkegaard, Abraham showed two things in his action of binding his son Isaac: First, his duty toward God was absolute;second, his ethical responsibility toward the family and the society was relative and secondary when compared to the God’s command.
    Kierkegaard interprets that through the obedience of trying to kill his son, Abraham showed his faith. Levinas’s understanding of the A k e d a h is radically different from the Kierkegaard’s. For Levinas,Abraham was tempted to kill his son by the first God’s voice.
    However, Abraham could overcome that temptation through waiting patiently for the second God’s voice, and successfully came back to the real God’s ethic. Although Levinas does not say explicitly that Abraham saw or heard God’s voice “you are not to kill” on Isaac’s face, Levinas’s thought concerning human face can strongly support the interpretation that Abraham saw or heard God’s ethical command “you are not to kill” on his son’s face. Therefore, the ethics revealed through human face is prior to God’s direct command to sacrifice one’s own son. In contrast to Levinas’s interpretation, Derrida agrees Kierkegaard’s understanding that the absolute duty toward God conflicts with the responsibilities for family and society. Also like Kierkegaard, Derrida says that for the duty toward God, one should be ready for “the gift of death” that looks like a madness. However,Derrida does not want to abandon the universal ethical norms because of the religious faith. He wants to state that a responsibility for one other is always in conflict and in aporia with another responsibility for another(or other) other, using the expression “every other (one) is every (bit) other, tout autre est tout autre .” It is obvious that although Derrida does not want to ignore or to destroy any ethical system, his deconstruction does not try to construct an ethical system. Derrida correctly insists that every system seeking “the pure” or “the absolute”, including Levinas’s ethical system, has the possibility of violence to the o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조직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