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비설화 속 ‘여성표상 동물’ 이야기에 나타나는 속신(俗信)의 양상과 기능 (The Aspect and Function of the Folk-belief Appearing in Female-representation-animal Story in Oral-folktale)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11
19P 미리보기
구비설화 속 ‘여성표상 동물’ 이야기에 나타나는 속신(俗信)의 양상과 기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47호 / 155 ~ 173페이지
    · 저자명 : 유경자

    초록

    이 글은 한국의 구비설화에서 여성을 표상하는 동물 중 여우, 고양이, 곰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이야기 속에 내포된 속신의 형태와 기능에 대해 살핀 것이다.
    여우의 경우는 여우의 속성, 능력, 관계, 변신, 금기 등과 관련된 속신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고양이의 경우는 견묘지간(犬猫之間)의 상극적 인식과 함께 고양이의 보복에 대한 속신을 내포한 이야기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곰은 인수교합(人獸交合)의 속신을 내포한 이야기가 가장 많다.
    이러한 ‘여성표상 동물’ 이야기에 나타나는 속신의 기능과 의미를 살펴보면, 먼저 ‘여성성 선망(羨望) 속신이 유도하는 파괴적 결말’을 볼 수 있다. ‘여우누이’ 이야기가 그 예인데, 남성성 과잉상태에서 출현시킨 여우누이로 표상되는 여성성은 가부장제 사회에서 환영받지 못하고, 그 부정적 측면이 강화되어 악으로 규정됨으로 인해 집안의 몰락과 마을공동체의 파괴로 이어진다. 그러나 그 악이 징치됨으로써 이야기 속에 투입된 여성성 선망 속신은 여성성 발현에 대한 경계와 함께 남성성 중심의 가부장적 위계질서의 승리를 구가(謳歌)하는 데 일조하고 있다.
    다음으로 ‘부정적 여성성 발현 속신의 투입과 공포의 확산’을 들 수 있다. ‘여우구슬’, ‘상례(喪禮)와 고양이(또는 여우)’, ‘모성의 자녀살해’ 이야기들이 여기에 속한다. ‘여우구슬’에서는 팜므파탈의 치명적인 성적 매력이, ‘상례와 고양이’에서는 시신도 일으켜 세우는 고양이의 요사스러운 영력(靈力)이, ‘모성의 자녀살해’에서는 동물(곰)의 성정을 빌어 드러낸 여성의 매서운 복수가 공포를 조성하고 있다. 여기에 투입된 속신들은 이야기를 끌어나가는 데 있어 긴밀하게 작용하며 공포를 증폭시키고 지속 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지막으로 ‘장수탄생 속신으로 긍정되는 모성(母性)과 욕망의 표출’을 들 수 있다. 곰이야기 속에 투입된 장수(將帥)탄생 속신은 구비설화에서 부정적으로 인식되던 여성성을 지혜와 능력을 부여하는 ‘신적 능력을 지닌 존재로서의 모성’이라는 이름 아래 긍정하게 만든다. 이러한 긍정은 현실 세계에서는 결코 이룰 수 없는 소망을 인수교합이라는 비정상적인 방식을 통해서라도 이루어보고자 하는 민간 욕망의 표출이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rm and function of the vulgar faith embedded in these stories of foxes, cats, and bears among animals representing Female in Korean oral folktale. In foxes' case, the Vulgar faith is mostly related to their attributes, abilities, relationships, transformation, and taboos. In the case of cats, the relative perception of Gyunmyozigan(relationship between dogs and cats) as well as the story of a vulgar faith of cat retaliation dominate. For the bears, most stories are about have sexual intercourse between person and animal.
    Looking at the function and meaning of Vulgar Faith in the story of "Female Symbolizing Animals," we can first see "the destructive ending induced by Feminine Envy Vulgar Faith." The story of the " Fox sister" is an example in which femininity, which is represented as the fox sister that emerged from a masculine overstatement, is not welcomed in a patriarchal society, and its negative aspect is strengthened and defined as evil, leading to the downfall of the family and the destruction of the village community. As evil is disciplined, however, the femininity envy vulgar faith put into the story contributes to the victory of the patriarchal, hierarchical order centered on masculinity and the vigilance against the expression of femininity.
    Next is the 'injection of negative femininity manifesting Vulgar faith and the spread of fear.' These include ‘Fox beads,’ ‘Funeral and cats (fox),’ and ‘Maternal Child Killing.’ In "Fox Beads," Femme Fatale's deadly sexual attraction is creating fear, in "Funeral and Cats," the cat's epic spirituality that also raises the body, and in "Material Child Killing," the fierce revenge of a Female who revealed the temper of an animal is creating fear. The vulgar faiths put in here work closely in leading the story, amplifying and sustaining fear.
    Last is ‘the expression of maternal and desire that is affirmed by longevity birth vulgar-faith.’ The Longevity Birth Vulgar Faith put into the bear story makes the femininity perceived negatively in the oral folktale affirmative under the name of “maternal as a being with divine powers” that gives wisdom and ability. This positivity can be seen as an expression of the private sector's desire to fulfill the wishes that can never be achieved in the real world, even through an abnormal method called Besti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