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국유사』의 원효와 의상 ― 대중 속으로 들어간 ‘菩薩’(聖師)과 ‘如來’(法師) ― (Wonhyo and Uisang in Samgukyusa: Bodhisattva(Sacred Master) and Tathagata(Buddhist priest) who have walked with the people)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3.06
51P 미리보기
『삼국유사』의 원효와 의상 ― 대중 속으로 들어간 ‘菩薩’(聖師)과 ‘如來’(法師)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23호 / 95 ~ 145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한국인의 경전이자 수트라인 『삼국유사』의 분황 원효(芬 皇元曉, 617~686) 상(像)과 부석 의상(浮石義湘, 625~702) 상(像)에 대해살펴본 글이다. 『삼국유사』에는 한국인들의 유전인자가 새겨져 있다. 찬자인 인각 일연(麟角一然, 1206~1289)은 전통과 역사에 대한 남다른 인식이 있었다. 그는 청장년 시기를 전란 속에서 보내야 했던선승으로서 고조선[왕검조선]부터 고려 후기에 이르기까지 이 땅의신화와 인물, 역사와 문화, 신앙과 수행, 서지와 기록, 민속과 설화, 시가와 향가, 기후와 풍토 등을 『삼국유사』에 담아내었다.
    특히 일연은 신라의 대표적인 실천적 지성인이자 지성적 실천가로서의 원효와 의상에 주목하였다. 그는 몽골 침략과 원 간섭기를 살면서 신라불교의 난숙기를 수놓은 원효와 의상을 민족의 사표로서내세우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일연은 요석과의 인연으로 실계하여 설총을 낳았음에도 불구하고 원효를 보살(성사)로 파악하였다. 동시에 투철한 지계의식과 열정적인 후학 양성에 전력투구한 의상을 여래(법사)로 소환하였다.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바라본 원효는 ‘불기(不羈) 가풍’과 ‘각승(角 乘) 가풍’을 지닌 성사이다. 그는 ‘절필’과 ‘실계’를 통해 대중 속으로 들어간 원효의 삶을 12개 조목에 담아내었다. 일연은 원효의 살림살이를 ‘불기’와 ‘성사’, ‘실계생총’과 ‘소성거사’, ‘종내절필’과 ‘개식불타지호’, ‘화독화란’과 관음 친견, ‘분황지진나’와 ‘각승’과 ‘회고상’ 으로 수렴해 내었다. 또 일연이 『삼국유사』에서 바라본 의상은 그의 십대제자’와 그들에 의해 설립된 ‘화엄십찰’이다. 그는 화엄 경교를 실천한 ‘행자’이자 화엄 원교를 전했던 ‘법사’ 의상의 삶을 10 개 조목에 담아내었다. 일연은 의상의 살림살이를 ‘법사’와 ‘전교’, ‘서도관화’와 ‘남천저본색’, ‘국(난)내면’과 ‘정도의 역설’, ‘금산보개화신’과 ‘관음 친견’, ‘부석지보개’와 ‘십대제자’와 ‘화엄십찰’로 수렴해내었다.
    일연은 이들의 호명과 소환을 통해 당시 고려 불교계가 직면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삼고자 하였다. 그는 ‘절필’과 ‘실계’로통해 대중 속으로 들어간 원효의 보살(성사)의 삶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일연은 원효에게서 ‘불기 가풍’과 ‘각승 가풍’을 불러내고자하였다. 또 일연은 의상에게서 ‘화엄 행자’와 ‘원교 법사’의 가풍을통해 대중 속으로 들어간 의상의 여래의 삶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의상에게서 ‘화엄 행자’와 ‘원교 법사’의 가풍을 불러내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하여 일연은 두 사람의 실천적 지성성과 지성적 실천성을 고려 불교의 현실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이후 원효와 의상 형상의 정립과 유포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images of Bunhwang Wonhyo (芬皇元曉, 617~686) and Boosuk Uisang (浮石義湘, 625~702) in Samgukyusa, an overlooked history of Three Korean Kingdoms, a Korean scripture. Korean genealogy is engraved in Samgukyusa. The author, Ingak Ilyeon (麟角一然, 1206~1289), was extraordinarily aware of Korean tradition and history. He was a Seon Buddhist monk who had to spend his youth in war. After the war, he recorded Korean myths and figures, history and culture, faith and practice, books and records, folklore and tales, poetry and native songs, climate, and natural features, from the Old Joseon[古朝鮮, Wanggeom-Joseon, 王儉朝鮮] age to the late Goryeo dynasty, in Samgukyusa.
    Wonhyo, as seen by Ilyeon in Samgukyusa, was a holy monk who had the “tradition of not being bound by anything” and the “tradition of riding a bull which has two horns.” He captured the life of Wonhyo, who walked and mingled with people by “throwing away the precepts” and “stopping writing,” in 12 items.
    Uisang, as seen by Ilyeon in Samgukyusa, was represented by his ten disciples and the “Ten temples of Huayan” founded by them. He captured the life of Uisang, who practiced the teachings in Huayan’s scriptures and was a monk who delivered the complete teachings of Huayan, in 10 items.
    Thus, Ilyeon tried to use these two figures as alternatives to solve the contemporary problems faced by Buddhism in Goryeo. Specifically, Ilyeon paid attention to Wonhyo and Uisang as representative practical intellectuals and intellectual practitioners of Silla Buddhism. He tried to present Wonhyo and Uisang, who highlighted the difficult time faced by Silla Buddhism while living during the Mongol invasion and Yuan interference, as national examples.
    Because of this, Ilyeon recognized Wonhyo as a holy monk even though he had a son named Sulchong due to his relationship with Princess Yosuk after breaking precepts. Simultaneously, Ilyeon recalled the life of Uisang, who thoroughly observed precepts and passionately nurtured young students.
    Ilyeon paid attention to Wonhyo’s life. He walked and mingled with people by “throwing away the precepts” and “stopping writing.” It is because Ilyeon saw it as an alternative to solve the contemporary problems Buddhism faced in Goryeo. Ilyeon tried to invoke the “tradition of not being bound by anything” and the “tradition of riding a bull which has two horns” from Wonhyo. Also, Ilyeon called Uisang a practitioner of the scriptures of Huayan and a Buddhist priest who delivered the complete teachings of Huayan.
    Based on this, he tried to graft the practical intellect and intellectual practicality of Wonhyo and Uisang to the reality of Buddhism in Goryeo.
    His effort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later establishment and dissemination of their imag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