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 속의 三足烏’의 構成 要所와 圖像의 象徵的 意味 (Components and Symbolic meanings of ‘Three-legged Crow in the Su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해 속의 三足烏’의 構成 要所와 圖像의 象徵的 意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51호 / 5 ~ 28페이지
    · 저자명 : 김주미

    초록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 문양으로 태양을 상징하고 이를 형상화 한 日象文이 있다. 日象文은 원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원 안에 三足烏와 같은 瑞鳥가 결합되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해 속의 三足烏’로 표현된 한국의 日象文을 중심으로 그것이 함축하고 있는 福樂과 災禍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日象文의 주요 구성 요소인 태양과 三足烏가 지닌 상징적 의미를 알아본 후, 원으로 구성된 日象文과 원과 三足烏가 결합된 日象文의 圖像 해석을 통해 ‘해 속의 三足烏’에 반영된 福樂과 災禍의 의미 및 陰陽의 미학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생명과 아침을 상징하는 붉은 태양 안에 죽음과 밤을 의미하는 까마귀와 같은 玄鳥를 함께 표현한 ‘해 속의 삼족오’는 밤이 지나면 아침이 오듯이 죽음과 어둠은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이며, 생성과 소멸은 경계 없는 동반자라는 우주론을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 태양과 三足烏와 같은 玄鳥가 결합된 日象文은 자주적 天下觀을 표방했던 시기, 자주 의식이 고양되었던 시기, 통치자의 합법성이 절실히 요구되었던 시기에 주로 나타났다. 특히 대내외적으로 어려움을 겪었던 시기에 ‘해 속의 三足烏’와 같은 日象文이 많이 보이는 것은 국난이나 정치적 혼란과 같은 어려움의 시기가 지나면 밝은 세상이 올 거라는 희망의 메시지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영혼의 운반자ㆍ天命의 使者ㆍ穀靈의 전달자의 성격을 지닌 三足烏를 日象文에 등장시킨 것은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의 정령을 전해줌으로써 하늘과 땅을 연계시키고 만물을 살리며 풍요와 행복을 이어주는 三足烏의 共生共福의 개념을 나타내고 있다. ‘해속의 三足烏’에 담긴 이러한 심오한 의미가 많은 이들에게 전달되고 인식되기를 바라며, 아울러 고단한 삶을 사는 분들에게 일몰은 일출을 전제로 하며, 완전한 어둠도 완전한 밝음도 없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다.

    영어초록

    The Solar Pattern is a traditional Korean pattern that symbolizes and embodies the sun. The Solar Pattern is expressed as a circle, or combined with an auspicious bird like the Three-legged Crow in the circle.
    Meanwhile, the lexical meaning of ‘bongrak’ is to live a happy life and get comfort and joy, whereas ‘jaehwa’ means to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a disaster and misfortune. The specific interpretation of ‘bongrak’ and ‘jaehwa’ may vary depending on circumstances, but bongrak includes a harmonious and affluent world, a bright new world and dream and hope, and jaehwa implies adversities and misfortune.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Solar Pattern of Korea expressed in the ‘Three-legged Crow in the Sun’ and inquire into the meaning of bongrak and jaehwa implied therein. To this end, for starters, the symbolic meaning of the Sun and the Three-legged Crow will be examined, and the meaning of bongrak and jaehwa expressed in the ‘Three-legged Crow in the Sun’ through the iconographic interpretation of the Solar Pattern expressed as a circle and the Solar Pattern combined with the Three-legged Crow.
    It was found that the ‘Three-legged Crow in the Sun,’ which expressed hyeonjo (玄鳥; a black bird), meaning death and night, in the red Sun symbolizing life and morning, reflects the cosmology that death and darkness are not the end, but a new beginning like the morning comes after the night is over, and that creation and destruction are borderless partners.
    In Korea, the Solar Pattern, which combines the Sun with hyeonjo (a black bird) like the Three-legged Crow, was most prevalent when the independent perception of the world was advocated, when the independent consciousness was edified and when the legitimacy of the ruler was desperately needed. In particular, the Solar Pattern like the ‘Three-legged Crow in the Sun’ was found most often when the country was having difficulties from within and without because it contains a message of hope, i.e. a bright world will come after tough times like a national crisis or political chaos are over.
    In addition, the Three-legged Crow, which is a soul carrier, the emissary of Providence and the messenger of the corn spirit, appears in the Solar Pattern is thought to express the notion of symbiosis and joint happiness brought about by the Three-legged Crow, which links the Heaven to the Earth by delivering the spirit of the Sun from heaven to earth, gives life to all creation, and brings abundance and happiness.
    It is hoped that the profound meaning of the ‘Three-legged Crow in the Sun’ will be delivered to and accepted by many people, and the message that the sunset precedes the sunrise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complete darkness or complete brightness will be delivered to many people who are leading a tough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