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소설 속 여성인물의 정신질환 연구 -화병(火病)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ntal Disorders of Women Figures in ‘Sinsoseol’(New Novel) Focusing on ‘Hwabyu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05
31P 미리보기
신소설 속 여성인물의 정신질환 연구 -화병(火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korean Culture / 49권 / 169 ~ 199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호

    초록

    신소설에는 정신질환이 높은 빈도로 등장한다. 그 중에서도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것은 화병이다. 신소설에서 화병은 ‘심화병’, ‘울화병’ 등 직접적으로 병명이 거론되든, 혹은 증상이나 기전 서술을 통해 간접적으로 거론되든 다양한 작품에서 발견된다. 신소설에서 화병은 주로 기혼 여성이 얻는 것으로 서술되는데, 이는 작중에서 이들 인물이 직면하는 상황과도 관계가 깊다. 유학이나 여행 등 가정을 떠난다는 선택이 가능한 남성 또는 미혼여성과는 달리, 기혼의 여성인물은 가정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없다. 가정을 고수하는 과정에서 납치, 강간, 음해 등 다양한 고난에 직면하게 되나, 이러한 고난을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입장도 아니다. 고난의 점증으로 인한 울화로 화병을 얻게 된다는 것이 신소설의 여성인물에게 보이는 전형적인 서사다.
    그런데 이런 화병은 여성인물의 부정적 행위에 대한 징벌이 아니라, 고난을 인내하여 긍정적 가치를 고수한 데 대한 징표로서 나타나게 된다. 화병에 대한 치유 역시 의료 행위나 인물 자신의 회개, 반성 등을 통해서 얻어지는 게 아니라 고난의 원인이 되는 외부 세계의 모순이 해소되는 것으로 실현된다. 따라서 신소설에서의 화병은 여타의 병이나 일반적인 광기와는 달리 정절과 같은 신소설이 긍정하는 가치를 대변하는 질환으로 의미화된다는 데 특징이 있다. 또한 신체화 증상이 동반되는 화병의 특성은 이후 신경쇠약과 결핵으로 대변되는 문학 내에서의 질병 담론에도 일정한 영향을 끼쳤으리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Mental disorder, or psychiatric disorder appeared frequently in ‘Sinsoseol’(New Novel). Especially, ‘Hwabyung’ is the most common mental disorder in those novels. Either directly presented as ‘Simhwabyung’, ‘Ulhwabyung’ or indirectly described by its symptoms and mechanism, it had been shown in many New Novels. In those works, patients of ‘Hwabyung’ is almost married-women figures, who could not escape from home, unlike men and unmerried-women figures who could escape by studying abroad or travel. Futhermore, these merried-women figures who had been threatened with kidnapping, rape, intrigue by other malefactors, could have not dealt with these menaces actively. Consequently, distresses of these women figures had been on the rise, and had caused ‘Hwabyung’ by accumulated wrath, or ‘Ulhwa’.
    By the way, these ‘Hwabyung’ in New Novels is not a punishment for depravities of women figures, but a token for sticking with positive values by patience. Healing from ‘Hwabyung’, Likewise characteristics of this disorder, is not come true by medical treatment or penitence of patients, but with settlement of contradiction in novels that had caused distresses for women figures. Therefore, ‘Hwabyung’ in New Novles, unlike the other disorders and diseases, is a credit for positive values emphasized in New Novels such as fidelity for spou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 that accompany mental and physical disorder is linked with discourses of diseases in modern novels, especially 1920s and 1930s, which had emphasized two disorders – nervous breakdown and tuberculosi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korean Culture”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