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설화 속에 깃든 인본주의 고찰-융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umanism in Korean Folktale -focused on fus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5.07
28P 미리보기
한국설화 속에 깃든 인본주의 고찰-융합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47호 / 105 ~ 132페이지
    · 저자명 : 이화형

    초록

    한국의 설화에는 인간존중과 더불어 공동체의식을 지향하는 내용이 많은 편이며 인간중심의 새로운 윤리관을 제시하고자 했음이 역력하다. 이러한 휴머니즘적 사유를 이야기 사례를 중심으로 융합적 방식에 따라 분석해볼 수 있다.
    인간과 신(자연)의 경우, <단군신화>는 하늘로부터 땅에 이르는 자연을 기반으로 인간이 탄생되었듯이 인간이 자연과 융합을 이루는 것이 이상적인 삶임을 암시한다. 인간을 중시하는 한국적 사유체계가 대부분의 신화에서도 엿보이는데 많은 한국신화가 역사적 인물의 신격화 과정을 말하고 있는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건국시조들은 왕업을 성취한 후 죽어서 산신이 되거나 시조신 격으로 숭앙을 받게 되며 전국의 많은 마을들이 원통하게 죽은 역사적 인물들을 신격화하여 마을신으로 모시게 된다.
    인간과 동식물의 경우, 먼저 ‘동식물의 인간화와 구원’에서는 <단군신화>에서와 같은, 여성의 몸으로 변한 곰토템을 비롯하여 壇樹나 쑥과 마늘이 갖는 식물숭배의 토템이즘을 간과할 수 없다. 또한 <김현감호>설화에서와 같이 호랑이는 일찍부터 여성토템으로 숭앙되었다. 다음으로 ‘인간의 동식물화와 구원’에서는 <효자호랑이>전설처럼 남편이 호랑이가 되어 맹목적으로 효를 실천하는 비극적인 결과를 지적한다. <대왕암>전설처럼 문무왕이 죽은 뒤에 용이 되어 나라를 지켜주고, <선비와 구렁각시>처럼 여인의 정체가 구렁이임을 알고 위기에 처해서도 의리를 발휘하여 용이 되도록 도와주었다.
    인간과 인간의 경우, ‘이상과 현실의 괴리’에서 <오장군>전설처럼 주인공이 긍정적인 인물이고 비범한 능력의 소유자이나 불운하게 좌절하고 만다. <아기장수>전설처럼 가혹한 정치에 시달리는 민중들이 장군의 출현을 기원하지만 막상 장군이 나타나자 그를 거부하고 만다. ‘聖에 대한 俗의 대결’에서는 <도미아내>처럼 아름다운 도미아내를 탐하는 개루왕의 추악함이 문제되고, <장자못>전설처럼 도승의 탈속을 지향하는 며느리에 욕심 많은 황부자 영감이 부각된다. ‘미천함의 역동적 성취’에서는 <울산바위의 유래>처럼 절이 재정적 위기에 처하게 되자 동자승이 나서서 문제를 해결하고, <백정과 박문수>이야기와 같이 하류계층의 백정이 도량과 인격을 갖춘 인물로 등장한다.
    남성과 여성의 경우, 우리의 시조신화는 남성적인 북방 유목민의 천손신화와 여성적인 남방 농경민의 난생신화의 융합으로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남성과 여성으로 유추되는 天父地母의 신성혼인은 한국신화의 구조적 전형이라 할 만하다. 특히 <달래강>전설에서와 같이 남성과 여성의 융합관계에서 드러나는 생명사상의 고취를 우리 이야기의 핵심가치로 삼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ere are lots of contents of respecting man’s life and dignity and intending to community spirit in Korean folktales. And they intended to make the new ethics focused on men centric. So we can analyze the humanistic thought focused on the fusion style.
    In the case on human and god(nature), Tan-gun mythology suggest that it's a ideal life to make harmony between man and nature as men born based on nature. The Korean thinking system focused on human can be seen in the most of mythology. And there are the efforts to deify the historical person in lots of Korean mythology. The persons who founded country were worshiped as the founder gods. The historical persons dead awfully were designed in lots of towns.
    In the case of men and animals and plants, there are the bear totem and the totemism of plant worship as in <Tan gun myth>. Also tiger was worshiped as woman totem as in the folktale <Kim Hyun kamHo>. And in ‘the being of animal and plant from man and the salvation’, there is a tragic story of a husband try to be a tiger to be a good son as in the legend <a good son tig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