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漂人領來謄錄』속의 경상도 표류민과 해역 (The Drifter of Gyeongsang Province and the Sea Area in the 『Record of Pyoinyeongnae』)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7.06
41P 미리보기
『漂人領來謄錄』속의 경상도 표류민과 해역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경남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경계 / 103호 / 35 ~ 75페이지
    · 저자명 : 김강식

    초록

    17~18세기 중반에 경상도 연안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했던 표류민은 동북아시아의 해역을 설명해 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조선후기의 자료 『漂人領來謄錄』에는 일본으로 표류했던 경상도인의 표류사례 142건이 기록되어 있다. 경상도의 표류민은 바람과 해류의 영향으로 경상도 동해안에서 표류할 경우 일본의 표착지는 對馬 70건, 長門 39건, 筑前 18건, 石見 11건으로 4개 지역이 대부분이었다. 표착 후에 표류민은 長崎나 對馬島를 거쳐서 조선 동래부로 송환되었다가 고향으로 돌아갔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과 일본 사이의 표류민 송환은 국가 사이의 절차를 따랐는데, 이것은 자연적인 우발적 사건에 인위적인 국가 사이의 체제가 작동하여 마무리되었음을 보여준다. 당시 경상도 표류민은 표착지에서 일본인과 만나면서 자연스럽게 일본문화를 접하기도 했다.
    17~18세기 중반에 경상도 표류민의 표류 시기는 해류와 바람의 영향으로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였는데, 경상도민이 표류선에 승선한 이유는 해상에서 어로 활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렇지만 경상도 표류민의 표류선에는 어로 활동 외에도 상업과 운송 등 다양한 이유로 同船한 경우도 있었다. 17~18세기 중반에 일본으로 표류한 경상도 표류민의 공통적인 특징은 한 배에 승선한 인원이 10명 내외로 많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것은 농한기에 생활을 위해서 어로 활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조선 표류민은 일본에 표착한 후 먼저 일본 현지에서 인도적인 구호를 지원받은 후 長崎와 對馬島를 거쳐서 동래로 송환되었다. 조선 표류민의 송환은 대부분 대마도의 年例送使나 漂人領來差倭가 조선에 올 때 함께 왔다. 이러한 일본 사절에 대해서 조선에서는 예물을 준비하여 茶禮, 下船宴, 上船宴에 이르는 여러 차례의 연회를 베풀어 주었다. 원칙적으로 조선후기에는 표류민의 송환의 비용은 해당국에서 무상으로 부담하였다.
    조선후기에 경상도 해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표류민 문제는 앞으로 일본뿐만 아니라 다른 인근 국가에 표류한 사례까지 검토함으로써 경상도 해역에서 발생했던 표류민 문제를 보다 구체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에서 행해졌던 표류민의 송환 문제를 동아시아 차원에서 규정함으로써 해역사 연구를 새롭게 정리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차원에서 조선후기에 경상도 연안에서 일본 연안으로 표류했던 경상도 표류민에 대한 연구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영어초록

    Sea area-based network during the modern period diversely connected major trading ports through the use of tax favors given to tributary trade based on trading or long-term trading routes at a national level. On the other hand, sea areas at a private level had multi-layered and natural characteristics. For this reason, they affected the base of tributary rule by government officials in Gyeongsang Province to maintain their influence as sea areas. In this regard, geological sea areas can be defined through drifting,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private sea area system can be clearly understoo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in terms of drifting. However, studies on drifters of Gyeongsang Province during 17~18th centuries have not yet concrete results. It is due to the fact that control through maritime embargo imposed in North East Asia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stabilization of international order through tributary trade led to reduction in drifters. However, drifting and private exchanges continued within the geological sea areas, and drifters of Gyeongsang Province continued to take place in this regard. Gyeongsang Province continuously served as the part of sea areas in East Asia, and it well demonstrates changes in the sea areas.
    The study was concentrated on verifying the scope of geological sea area in East Asia through drifters of Gyeongsang Province and examining exchanges in the sea area through drifters. Toward this end, drifting cases were confirmed through ‘Record of Pyoinyeongnae’ that helps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s of drifters of Gyeongsang Province during 17~18th centuries in order to figure out reasons for drifting, drifting process, drifting area, stay, repatriation, drifters’status and drifters’exposure to other cultures. Mostly the drifters from Gyeongsang Province were cast the Japanese coast in fishing activities. Through this, the study aimed to explain that drifting was a path of cultural exchanges at a private level instead of marine accidents in the modern period and define the scope of sea areas and network centering on Gyeongsang Provi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경계”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