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목회 돌봄 속에서의 시기심- 족장 시대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Envy in Pastoral Care: Patriarchal Narrative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8.05
27P 미리보기
목회 돌봄 속에서의 시기심- 족장 시대 내러티브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59호 / 479 ~ 505페이지
    · 저자명 : 최주혜

    초록

    이 글은 목회 돌봄 속에서의 시기심에 관한 연구이다. 시기심이란 사회적 비교 속에서 내게 중요한 것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향해서 내가 부족하다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관계가 위협받고 있다고 생각될 때 그 관계를 지키기 위한 반응으로서의 질투와는 구별된다. 이러한 시기심은 자신이 시기하는 대상이 가지고 있는 것을 가지려는 욕심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욕심이 좌절되었을 때 분노하거나 우울해진다. 성경 속에서도 시기심을 경험하는 많은 인물들은 자신의 시기심으로 인해 하나님과의 관계가 멀어지곤 한다. 하와, 가인, 에서, 그리고 요셉의 형들은 자신이 가지고 싶은 것을 가진 대상을 향해 시기심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자신이 시기하던 대상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가 멀어졌다. 시기심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를 멀어지게 하고 왜곡이 일어나게 하며 하나님이 주시는 희망과 소망을 가지고 살기보다는 현실에 갇혀서 지내게 된다. 시기심 속에서 인간은 자신의 부족함의 원인을 자신이 시기하는 대상이라는 잘못된 생각을 가짐으로 시기하는 대상과의 관계를 왜곡시킨다. 그래서 시기심을 살펴보고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을 살펴보는 것은 심리학적 건강뿐만 아니라 목회적 돌봄 속에서도 필요한 것이다. 이러한 시기심을 극복하기 위해서 이 글은 세 가지 상담심리학적 접근을 제안한다. 1) 자신의 원초적인 욕망 살펴보기 2) 시기심을 자기 성장의 동기로 여기기 3) 시기하는 대상을 주체성을 가진 존재로 바라보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이는 교회 공동체 안에서 시기심을 위한 효과적인 목회 돌봄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다시 말하면, 교회는 시기심을 부정하거나 억압하기 보다는 시기심으로부터 시작되는 자신의 욕망과 욕구를 잘 살펴보고 그러한 욕구가 자기 성장과 하나님과의 진정한 만남의 길로 가도록 도와줄 때 타인과의 관계뿐만 아니라 하나님과의 관계도 회복이 되어 영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envy in pastoral care. Envy is the inferior feeling which is from social comparison. The envier feel they are deficient through comparison. Because this is hard for the envier, the envier tries to keep their dignity by wishing to destroy the inferiority they feel. Therefore, the envier tries to have the possession or success of the envied. When the envier fails to do this, the envier experiences anger or depression. In envy, the envier might think that the cause of their inferiority is the envied, which leads to the distor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er and the envied. In order to overcome envy, I suggest three psychological approaches; 1) examining the desire of the envier 2) regarding the envy as the motivation for one’s development 3) seeing the envied as the one who they are their own identity. These approaches are well understood as to how the church should look for people suffering from envy. In the Bible, many characters who experience envy are estranged from God because of their envy. Eve, Cain, Esau, and Jacob’s brothers show their envy toward the object they want.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 and God has become estranged. Instead of denying and oppressing envy, the church should help the congregation look at their own unsatisfied desire in envy. Also, the church must help the congregation to make way for self spiritual growth and meeting with God through this process. It is something that can be restored not only in relation to others but also in relation to God so that it can be grown spiritu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