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대 교방(敎坊)의 세시의례 속 ‘종규(鍾馗) 공연’ 연구 (A Study on ‘Zhongkui(鍾馗) Performances’ of Calendaric Rituals in the Jiaofang(敎坊) of the Ming dynasty)

5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9.08
55P 미리보기
명대 교방(敎坊)의 세시의례 속 ‘종규(鍾馗) 공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연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공연문화연구 / 39호 / 223 ~ 277페이지
    · 저자명 : 김순희

    초록

    명나라 궁정의 교방(敎坊)에 의해 편찬되고 공연된 잡극(雜劇) 텍스트를 중심으로, 궁정 공연의 통시적 변화 양상 및 민간과의 차별성에 주목하여 세시의례 속 ‘종규(鍾馗) 공연’의 특징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중국의 민간신앙에서 ‘종규’는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는 대표적 신령으로 간주되어, 주로 제석(除夕)이나 단오절(端午節)에 관련 의례와 공연이 거행되어 왔다. 그간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연구가 수행되었음에도, 유일하게 궁정 잡극 텍스트가 남아 있는 명나라 교방에 의한 종규 공연 상황은 크게 주목받지 못하여 중국에서도 개괄적인 언급 속에서 간략히 다루어졌다. 따라서 명대 궁정 교방 잡극에 드러나는 세시의례 속 종규 공연의 양상을 분석하고, 이와 차별성을 띠는 민간에서 전승되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궁정 잡극 텍스트 분석을 통해 ‘과거제도’와 신앙 통제를 고리로 하는 소위 교화(敎化)라 표현되는 황실 통치 이념의 구현 상황을 추출하였고, 이 잡극이 ‘종규 공연’을 포함한 버라이어티 한 퍼포먼스로의 특징을 띠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학 분야는 물론 국문학・연극학・무용학・민속학・종교학・인류학・미술학 등 연계 학문에도 긍정적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text reference from the Variety Theatre compiled and performed by the Jiaofang of the Ming Dynasty Palace, the characteristics of Zhongkui performance in the New Year Ceremony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differentiation and diachronic change in aspect between court dance and civilian. In China's folk beliefs, 'Zhongkui' is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spirit of fighting against evil spirits. Relevant rituals and performing arts have been held mainly on New Year's Eve or the Dragon Boat Festival. Although extens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he situation of Zhongkui performance was largely unnoticed, only generally addressed in China, even with the given fact that the Ming Dynasty's text reference of miscellaneous court dance was exclusively retained, Therefore, the analysis intends to propose Zhongkui performances of Calendaric Rituals in the aspect of its elements and differentiate the play handed down among people as a specific example. Through the text analysis of miscellaneous court dance, 'Imperial examination' and religious belief was regulated usuriously by a so-called edification expressed as imperial reign ideology extracted to an implementation situation, revealing that this court dance was characterized by a variety of performances including the 'Zhongkui'. The results of the following study intends to provide a positive foundation for not only the field of Chinese studies but also the field of Korean literature, theatre, dance, folklore, religion, anthropology and ar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연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