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토양속에서 자운영 종자의 휴면성 및 종자활력 변화 (Change of Seed Dormancy and Viability of Chinese Milk Vetch (Astragalus sinicus L.) in Rice Field)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0.03
7P 미리보기
토양속에서 자운영 종자의 휴면성 및 종자활력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작물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작물학회지 / 55권 / 1호 / 76 ~ 82페이지
    · 저자명 : 김상열, 황운하, 이종희, 오성환, 조준현, 한상익, 정국현, 박성태, 최경진, 김정일, 이지윤, 송유천, 여운상, 강항원

    초록

    자운영 지속재배시 토양에 매몰된 종자의 휴면 및 발아특성을 조사하여 토양속 종자 동태를 구명하기 위해 자운영종자와 꼬투리의 토양매몰 깊이 및 기간별 휴면성과 종자활력 변화를 조사하고 또한 자운영 지속재배 포장에서 낙수후자운영 종자의 토양속 분포 개수, 발아율 및 종자활력기간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운영 종자 회수율은 종자 매몰 한달후부터 활력이잃기 시작하여 낙수전 9월까지 52~65%, 낙수후 10월에는급격히 떨어져 종자와 꼬투리 모두 30% 이하를 나타내었고, 꼬투리 매몰의 경우는 낙수전 9월까지 활력소실이 되지않고 100%를 보였다.
    2. 자운영 종자의 휴면은 수확당시는 95%로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파괴되어 9월에는 휴면율(경실율)이 종자는 12~22%, 꼬투리는 31~33%로 급격히 낮아졌고, 낙수후 10월에는 경실율이 종자는 2~8%, 꼬투리는5~12%로 보다 더 낮아졌다.
    3. 발아율은 토양 매몰전 종자는 4%로 낮았으나 토양에120일간 매몰후 종자 및 꼬투리속 종자 발아율은 휴면이 타파되어 각각 21%~31%, 49~51%로 증가하였다.
    4. 자운영 지속포장에서 9월 낙수후 토양속 잔존 자운영종자는 로터리 부분경운이앙은 경운이앙보다 2.3~2.6배가많았고, 자운영 종자분포 깊이는 로터리 경운은 0~15 cm 깊이에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부분경운 이앙은 대부분의 종자가 5cm 이하 깊이에 분포하고 있었다.
    5. 자운영 종자의 출아기간을 기준으로 한 토양 속에서활력유지기간은 매몰 후 2년정도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영어초록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seed persistence of Chinese milk vetch(CMV) in naturally reseeded rice field in 2007~2009. The seed and pods with seeds were buried in rice field at 0, 5 and 10 cm depths and retrieved from the field at one to three month intervals from July to the following year March and determined change of seed dormancy and viability. In the second experiment, persistence of the CMV seeds in the naturally reseeded rice field at different tillage methods and soil depths were also investigated after rice harvest in autumn.
    Burial depths and durations affected recovery rate, dormancy and viability of CMV seed. The viability loss was faster and greater in the seed than the pod with seeds and on the soil surface than the 5 or 10 cm burial depths. The recovery rate of CMV seed was decreased starting from one month as seed burial and i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to 52~65% for the seed in September. However, unlike the seed burial, the nearly 100% CMV seeds were recovered for burial as pod with seeds even after four months burial in both 0 and 5 cm depths. However, the recovery rate was sharply declined to below 30% at October in 2007 in both seed and pods with seeds and in the 2008/2009 experiment.
    the 15~47% of CMV seeds still remained even after October. The CMV had high seed dormancy of 95%,showing only 4~5% germination at the beginning in June but the seed germination increased to 25 to 35% in seed and 55 to 61% in pod with seeds in September due to breakage of hard seed dormancy. The viability loss was faster in the seed than in the pod with seeds regardless of depths of placement in the soil base on decayed seeds.
    Also the seed placed on the soil surface lost viability faster than the 5~10 burial depths. On the other hand, field observation in the naturally reseeded CMV rice field showed that as many as 917~2,185 CMV seeds m2 were from the 0~15 cm soil depth in the rotary tillage and 250~10,105 CMV seeds in minimum tillage treatmints. The recovered seed germinated 25~33%, 23~43% but still had high percentage of hard seed having 64~72% and 51~77% even after rice harvest in autum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reshly harvested CMV seeds had high level of primary dormancy and the dormancy was gradually broken in soil with time during rice cultivation periods and appreciable number of CMV seeds remained even 4 month after burial in soil. CMV plant regenerated naturally from the remained seed bank at rice harvest time in autumn. The CMV seedling still emerged even after 2 years of continuous destructive killing of emerged CMV plant by rotary tillage in naturally reseeded CMV plant in rice field, indicating that CMV seeds do persistent as least two years in so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작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