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공디자인으로서 도시 공간 속 미디어파사드 표현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Facade Expressions in Urban Spaces as Public Design)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5.02
10P 미리보기
공공디자인으로서 도시 공간 속 미디어파사드 표현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스마트융합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스마트융합콘텐츠논문지 / 4권 / 22 ~ 31페이지
    · 저자명 : 두경일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파사드가 도시 공간 속 공공디자인으로서 수행하는 역할과 가치를 분석하고, 성공 및 실패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향후 설계 및 운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 DDP, 삼성역 코엑스, 송도 트라이볼 등 한국의 대표적 미디어파사드 사례 5곳을 선정하고, 시각적 표현 요소, 미디어 콘텐츠와 스토리텔링,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성공적인 미디어파사드는 지역 정체성을 반영한 색채와 형태로 도시적 상징성을 강화하며, 역동적이고 유기적인 움직임을 통해 관람객의 몰입감을 극대화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역성과 역사성을 담은 콘텐츠와 스토리텔링은 정서적 연결을 형성하며, 참여와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사용자 경험 설계는 공공성과 감동을 증대시켰다. 반면, 상업적이거나 지역적 맥락과 동떨어진 콘텐츠는 공공성과 관람객 몰입도를 저해하는 주요 실패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디어파사드의 디자인 방향성을 지역 정체성과 통합성, 기술과 예술의 융합, 사용자 참여형 경험, 지속 가능성으로 제시하며, 도시 공간에서의 창의적이고 감각적인 공공디자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강조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ole and value of media facades as public design within urban spaces, identify their success and failure factors, and propose future directions for their design and operation. To achieve this, five representative media facade cases in South Korea(Seoul DDP, Samsung Station COEX, and Songdo Tri-Bowl) were selected and analyzed across three dimensions: visual expression elements, media content and storytelling, and user experience desig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uccessful media facades enhance urban symbolism by incorporating colors and forms that reflect local identity, while dynamic and organic movement intensifies visitor immersion. Furthermore, content and storytelling that integrate regional and historical context foster emotional connections, while user experience designs based on participation and interaction reinforce public engagement and emotional impact. Conversely, media facades featuring overly commercial content or those detached from local context were found to hinder public engagement and visitor immersion, making them key failure factors. This study presents four key design directions for media facades: integration with local identity, fusion of technology and art, user-participatory experiences, and sustainability. It emphasizes the potential of media facade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reative and sensory public design within urban sp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