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화 속 정평구의 형상과 전승의식의 다각화 (Diversification of form and tradition consciousnes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7.06
38P 미리보기
설화 속 정평구의 형상과 전승의식의 다각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돈암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돈암어문학 / 31권 / 205 ~ 242페이지
    · 저자명 : 김난경

    초록

    본 연구는 전북 김제를 기반으로 전승되는 정평구 설화의 다각화된 전승의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북 김제 출신인 정평구는 임진왜란 당시 비차(飛車)를 발명한 인물이다. 그러나 그의 행적은 공식적인 역사서에는 기록되어 있지 않다. 구비 역사적 차원에서 사람들 사이에서 오랫동안 이야기 되었다.
    그러다가 정평구의 문헌적 기록은 조선 말기 유학자인 유재 송기면의 <정평구전>과 일제강점기의 신문매체들을 통해 이루어진다. <정평구전>에서는 정평구의 실제 이름과 평구라는 호칭의 연원을 알 수 있었으며, 일제 강점기 신문매체들은 정평구가 발명한 비차가 임진왜란 때 쓰였던 물건임을 공통적으로 기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구비 설화 속 정평구의 임진왜란 활약담은 비차를 발명한 정평구의 모습은 등장하지 않았다. 설화 전승자들은 정평구를 이인형 인물로 형상화하여 설화화하였고, 이인 정평구라 할지라도 일반적인 이인형 인물과 달랐다. 설화 속 정평구는 이인형 인물로 비범한 행위를 통해 왜군을 물리치는 모습이 아니라, 평범한 인물의 형상으로 일상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지혜와 재치로 속임수를 꾀하여 왜군을 물리친다.
    이와 같이 설화 속 정평구의 형상화는 민중 친화적 형상이다. 설화 전승자는 자신들의 형상을 한 정평구를 통해 임진왜란 때의 무능했던 지배계층을 비판과 국난의 상황 속에서 민중 스스로가 어떻게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지켰는지 그 역사적 진실을 이야기하고 있다.
    정평구 설화는 다시 한 번 허구적 윤색의 과정을 거치며 새로운 인물유형의 이야기로 변모한다. 조선 중·후기의 화폐경제 사회상을 반영한 건달형 인물로, 각 지역을 대표하며 전승되는 유형화된 이야기이다.
    전북 김제의 설화 전승자는 이러한 사회적 분위 속에서 유형화된 건달형 인물이야기를 적극 수용하여 정평구를 주인공으로 삼아 지역적 변이를 이룩하였다. 건달 정평구이야기는 건달형 인물이야기의 전승의식을 공유한다. 중세적 관념을 전복하고 희롱하기도 하며, 천민자본주의의 속성을 비판하기도 한다.
    건달 정평구의 반중세적인 진보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전승의식과는 달리 중세적 지향점을 보이는 보수적 세계관을 드러내는 <제사 차린 정성 부족하다고 해 끼친 혼령>이 전승되고 있다. 이와 같은 다른 전승의식은 역사적 행적을 남긴 실존인물 정평구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전승되는 이야기라는 점을 밝혔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consciousness of the enjoyment of folktale traders in the process of folktale through fictitious colors. Jeongpyeong-gu in Jeonbuk Kimje area was a man who invented a flying car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However, his actions are not recorded in official history books. There has been a long talk between people on the historical level.
    Then, the documentary records of Jungpyeong-gu are made through the <Jungyeongjeokjeon> and the newspaper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uring the late Confucian Confucian scholar Yoojae Song. In Jeongpyeonggujeon, we could know the name of Jeongpyeonggu and the name of Pyonggugu. The newspapers in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confirmed that Jeongpyeonggu invented the same thing that was us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However, Jung Pyeong-gu, the inventor of the unexpected, did not appear in the story of Jungpyeong-gu, The folk tales of the tales were made into a narrator by portraying Jung Pyung - gu as a Lee In - young figure. In the story, Jungpyeong-gu is not a figure that defeats the enemy through an extraordinary act, but rather an ordinary person, who deceives the enemy by devising a trick with wisdom and wit that is done on a daily basis.
    Thus, the shaping of Jungpyeong in the tale is a people-friendly form. The folktale traders talked about the historical truth of how the people themselves kept their lives in the midst of criticism and incompetence of the incompetent ruling clas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the form of Jungpyeong-gu.
    The story of JungPyeongGu is once again transformed into a story of a new figure type through the process of fictional love. It is a story of a gull-like figure that reflects the economic and social realm of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The folk tales of Jeonbuk area also rejoice in Jungpung-gu as the protagonist who enjoys the story of a gunman who reflects the changed world. The trait of Jungpyeonggu talent was changed to Jungdang Jeongpyeonggu. Through Jungdang Jeongpyeonggu, the lyricist overthrew and mocked all social ideas and showed an expanded world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돈암어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