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가면극 속 동물 복식의 특징에 관한 연구(Ⅰ)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Animal Costumes in Mask Dramas(Ⅰ))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3.06
15P 미리보기
가면극 속 동물 복식의 특징에 관한 연구(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복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복문화 / 26권 / 2호 / 5 ~ 19페이지
    · 저자명 : 김초영, 양숙향

    초록

    사자는 한반도에 자생하는 동물도 아니며, 십이지나 길상문으로 사용되던 동물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한국 가면극(mask drama)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동물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가면극에 등장하는 동물 복식 중 사자 복식이 갖는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2016년부터 2018년에 진행된 현장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면극에 등장하는 사자 복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청사자놀음의 사자는 오방색 복식을 착용하였으며, 전통 사자 복식이 가장 잘 전승, 유지되었다. 삼국시대 사자무(lion dance) 복식은 2명의 연희자가 앞뒤로 서서 털옷을 함께 착용한다. 이러한 형태는 지금까지도 대부분의 사자무 복식에서 전승되고 있다. 또한, 〈신라박〉은 1마리의 사자에 오방색을 고루 사용하였을 것으로 추측하는데 이것이 북청사자놀음의 사자 복식으로 전승되었다.
    둘째, 봉산ㆍ은율ㆍ강령탈춤의 사자는 백색 복식을 착용하였는데 이러한 양식은 국외 가면극과 교류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티베트와 인도네시아의 사자무에서는 백색 복식을 통해 불교를 수호하는 사자(lion)로서 악을 물리치는 역할을 표현한다. 이는 황해도 사자무에서 백색 복식을 통해 부처의 사자(messenger)로 파계승을 징계하고 나쁜 기운을 정화하는 역할을 표현하는 것과 동일하다. 셋째, 통영오광대와 수영야류의 사자는 유색 복식을 착용하였는데 이는 지역민의 기질과 사상을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굿놀이를 통해 호환을 대하는 지역적 차이를 보면 동해안 지역은 자연 극복적 성향이 강하다. 가면극 역시 황해도 사자 복식은 신성을 표현하고 인간과 화해로 끝을 맺지만, 경상남도 사자 복식은 물리쳐야 할 맹수로 역할을 표현하고, 인간의 승리로 끝을 맺는다. 이 지역 사자 복식의 형성은 도시가면극의 발달과도 관련이 있다.

    영어초록

    Although the lion is not an animal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or used in Twelve Zodiac Animals or Gilsangmun, which are patterns symbolizing good things such as longevity or happiness, it is one of the most commonly found animals in Talchum, a Korean mask dance drama.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on costume among the animal costumes appearing in the Talchum. For this purpose,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and data from fieldwork conducted in 2016~2018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ions in Bukcheong Saja Noreum wear the costumes of the Obangsaek, which is known as the traditional Korean color spectrum, and the traditional lion costumes in this mask maintain tradition more excellently than those in any other Talchums. In the costume of the lion danc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wo dancers stand back and forth and wear fur clothes together. This form has been passed down in most of the lion dance costumes. In <Sillabak>, it is assumed that all five colors from Obangsaek were evenly used in one lion, handed down to the lion costumes in Bukcheong Saja Noreum. Second, the lions of Bongsan, Eunyul, and Gangryeong Talchum wear white costumes, which seems to be due to exchanges with foreign mask dance drama. In the lion dance of Tibet and Indonesia, a white costume is used to express the role of defeating evil as a lion protecting Buddhism. It is consistent with disciplining the apostate monks and purifying bad energy performed by lions in the Hwanghae-do lion dance as a messenger of Buddha expressed through white costumes. Third, the lions in Tongyeong Ogwangdae and Suyeong Yaryu wear colored costumes, which is interpreted as reflecting the temperament and ideology of the local people. Regional differences in coping with the disaster caused by a lion through Gut performance show that the east coast region has a strong tendency to overcome nature. Considering Talchum, the lion costume in Hwanghae-do expresses divinity. It ends with a reconciliation between humans and the lion. In contrast, the lion costume in Gyeongsangnam-do expresses its role as a beast to be defeated and ends with humans' victory. The formation of lion costumes in this region is also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mask dance dramas in urb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복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