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찰민화와 불화 속 궁중회화 양식의 경계 (Boundaries between temple folk paintings and court styles in Buddhist painting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3.12
26P 미리보기
사찰민화와 불화 속 궁중회화 양식의 경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화 / 19호 / 296 ~ 321페이지
    · 저자명 : 윤진영

    초록

    사찰의 그림에는 소박한 화풍의 ‘민화’와 수준 높은 궁중회화 양식을 보여주는 양 측면이 존재한다. 즉, 민간취향의 소박한 그림으로부터 뛰어난 기량을 보여주는 작품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층위를 이루고 있다. 불교회화 안에서도 사찰민화와 궁중회화적 요소가 병존하고 있는 것이다.
    불화 속의 민화에 관한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주요 사찰의 불화 가운데 순수한 민화적 요소가 들어간 부분들이 소개되었다. 이 사례들은 ‘사찰의 민화’라 할 수 있을 만큼 사찰의 외벽이나 포벽에 주로그려진 그림들이다.
    사찰민화가 출현한 시기는 19세기와 20세기 초로 일반민화의 출현시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민화는 새로운 수요층의 부상과 생활장식화라는 수요를 통해 유행하였고, 불화는 사찰경제를 위해 대중적인 포교의 일환으로 민화를활용하였다. 화가를 보면 민화는 전통회화를 익히지 않은 화가들이고, 불화 속의 궁중양식에는 경험 많은 수화승으로부터 민화적 요소에 머문 무명의 화승들이 포함된다. 내용은 길상과 벽사, 장식화, 고사도, 감상화 등 매우 광범위하다. 사찰민화는 현실 구복적인 성격이 강한 반면, 궁중회화 양식의 그림은 거의 찾아볼 수 없다.
    화승들은 사찰의 경제를 살리기 위해 불사에 따른 화역 이외에도 민간의 수요에 따라 적극적인 도화활동을 펼쳤다. 민화와 궁중회화, 불화의 경계와 접점에 관한 연구는 학제간의 연구가 필요하며, 양자의 영역을 넘어 조선말기회화사 연구에도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sides to temple paintings: the simple ‘folk painting’ style and the high-level court painting style.
    In other words, it has many different layers, from simple paintings of folk tastes to works that show outstanding skill. Even within Buddhist paintings, elements of temple folk paintings and court paintings coexist.
    Research on folk paintings in Buddhist paintings began in earnest after 2000. Among the Buddhist paintings at major temples, parts containing pure folk painting elements were introduced. These examples can be called ‘temple folk paintings’ and are mainly paintings drawn on the exterior walls or gun walls of temples.
    The period in which temple folk paintings emerged was in th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and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mergence of general folk paintings. Folk paintings became popular through the rise of new demand groups and the demand for daily life decoration, and Buddhist paintings were used as part of popular missionary work for the temple economy. Looking at the painters, those who paint folk paintings are those who have not mastered traditional painting, and the court style in Buddhist paintings includes both experienced Buddhist monks and unknown painters who stayed with folk painting elements. The contents are very extensive, including auspicious signs, fortune-telling, decorative paintings, old sad paintings, and sentimental paintings.
    While temple folk paintings have a strong nature of subverting reality, paintings in the style of court paintings are rarely found.
    In order to revive the temple's economy, monks actively engaged in painting activities in response to private demand in addition to painting duties for Buddhist temples. Research on the boundaries and points of contact between folk paintings, court paintings, and Buddhist paintings requires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beyond the scope of both, it provides various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the history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