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문 문헌 속의 ‘大笒’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Dae-geum(大笒) in Sinographic Literature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3.12
22P 미리보기
한문 문헌 속의 ‘大笒’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93호 / 417 ~ 438페이지
    · 저자명 : 양원석

    초록

    본 논문에서는 우리 전통 악기 중 大笒을 주제로 삼아 이를 문화콘텐츠(Culture Contents)로 구성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초작업으로 이와 관련된 한문 문헌의 기록을 검토해 보았다. 즉 대금과 관련하여 한문 문헌에 어떠한 기록들이 있는지, 또 그 기록에서 찾을 수 있는 특징적인 내용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우리의 전통 악기 중에서 何必 대금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대금은 널리 알려진 萬波息笛 설화와 관련이 있는 등 우리 민족에게 친근함과 신비함을 더해 주는 악기이며, 중국의 笛子와 공통점도 있고 차별성도 있는 등 동아시아의 보편성과 우리 민족의 특수성을 동시에 잘 드러내는 악기이기 때문에, 고전 속 한류 기반 문화콘텐츠의 소재로 삼기에 적합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본론 Ⅱ장에서는 젓대, 橫笛, 大笒 등 대금을 칭하는 명칭에 대해 검토해 보았으며, Ⅲ장에서는 萬波息笛 관련 기록 및 萬波停息之曲, 表正萬方之曲, 堯天舜日之曲 등 곡명에 대한 고찰을 통해 대금의 상징 및 대금의 이미지에 대해 살펴보았고, Ⅳ장에서는 한문 문헌에서 ‘大笒’과 ‘橫笛’이 각기 다른 성격의 문헌에 쓰인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大笒’은 공식적인 표현이고 ‘橫笛’은 통상적이고 문학적인 표현이라는 점을 추정해 보았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we reviewed records in Sinographic Literatures related to the traditional Korean instrument, the Dae-geum(大笒), with the aim of laying the groundwork for constructing and utilizing it as Cultural Contents. Specifically, the objective was to examine what records exist in Sinographic Literatures regarding the Dae-geum, and to explore the distinctive contents that can be found in these records.
    The reason for choosing the Dae-geum as the subject of our research among our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is as follows. The Dae-geum is an instrument that adds familiarity and mystery to our nation, as it is widely associated with the well-known folk tale of ‘Man-pa-sik-juk(萬波息笛)’. It shares commonalities with Chinese flutes(笛子) while also possessing distinctive features, effectively embodying both the universality of East Asia and the uniqueness of our nation. Moreover, we considered it suitable as a subject for cultural content based on classical Korean themes.
    In Chapter II, we examined the terminology used to refer to the daegeum, such as ‘Jeot-dae(젓대)’, ‘Hoeng-jeok(橫笛)’, and ‘Dae-geum(大笒)’. In Chapter III, we explored the imagery symbolized by the Dae-geum through an analysis of records related to ‘Man-pa-sik-juk(萬波息笛)’ and a study of piece titles like ‘Man-pa-jung-sik-ji-gok(萬波停息之曲)’, ‘Pyo-jeong-man-bang-ji-gok(表正萬方之曲)’, and ‘Yo-cheon-sun-il-ji-gok(堯天舜日之曲)’. In Chapter IV, we inferred that in Sinographic Literatures, ‘Dae-geum(大笒)’ is used as a formal expression, while ‘Hoeng-jeok(橫笛)’ is employed as a more common and literary expression, based on their appearances in docume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