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소설 속 餘談의 성격 (The Character of Digression in 19th Century Nove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1.10
34P 미리보기
19세기 소설 속 餘談의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과 해석 / 11권 / 63 ~ 96페이지
    · 저자명 : 장예준

    초록

    19세기 고전소설 속에서 여담임이 분명해 보이는 여러 담화들을 대상으로 고전소설 속 여담의 성격이 어떠한지 여담과 삽화의 분별 측면, 여담의 표지 측면, 중심스토리 이탈과 복귀에 대한 작자의 태도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소설 특히, 장편소설에서 여러 삽화들이 중심 스토리와 얽히면서 작품을 구성해 나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작품의 중심 주제와 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삽화와 그렇지 않은 여담을 구별 짓는 것이 중심스토리와 직간접적으로 맺는 여러 이야기들의 스펙트럼을 파악하는 데 더 유용하다고 하였다. 여담은 일반적으로 개시 지표와 종결 지표를 남기지만, 고전소설에서는 그런 지표 없이 이야기가 단절되거나, 어느 순간 이야기에 복귀하거나, 화제가 완전히 바뀜으로써 앞 이야기가 여담이었음을 알 수 있다고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간접적 사후인지’라고 하였다. 고전 소설에서 작자는 어떤 특정한 이야기나 묘사에 몰입함으로써 중심 스토리를 이탈하는 양상을 보여주는데, 이때 작자는 하던 이야기를 갑자기 단절시키거나 아무 일 없었다는 듯 뻔뻔하게 복귀하는 모습을 보여준다고 하였다. 아울러 작자는 자신이 다른 이야기로 빠지는 것을 ‘조장’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이를 굳이 ‘억제’하지도 않는 태도를 보인다고 하였다. 작자 스스로 다른 이야기로 빠졌을 때, 이야기가 완전히 궤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이런저런 신경을 쓰는 것은 바로 이 때문이다.

    영어초록

    In 19th century classic novels, for the object of many discourses which are seen to be clearly digressions, investigated was how the character of digression within classic novels is dividing into the aspect of discernment of digression and episode, the aspect of sign of digression, the aspect of attitude of authors on breakaway from and return to main story.
    Considering that many episodes are become entangled with main story and compose works in novels particularly in full-length novels, to distinguish episodes which have indirect connection with main subject of the works from digression which do not is said to be more useful to understand spectrum of many stories which have alliance with main story directly and indirectly.
    Generally, digressions leave initiating pointer and terminating pointer but in classic novels the story is cut off without such pointers or in some moment the story returns or topic is completely changed hence the previous story is known to be digression.
    In this thesis this is called 'indirect expost facto recognition'. In classic novel the author shows the aspect to break away from main story by being immersed in a particular story or description, and this time the author suddenly cuts off the story being told or shows the appearance to return shamelessly as if nothing had happened.
    In addition, they say that author does not 'encourage' himself (or herself) to digress to other story but shows the attitude not to obstinately 'suppress' this.
    That is why when authors themselves digress to other story, they bother for the story not to completely break away from the track this way and that w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