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험소비자의 장벽관련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Research on the Types of Experiential Consumers Related to Barrier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0.03
27P 미리보기
경험소비자의 장벽관련 유형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1권 / 1호 / 107 ~ 133페이지
    · 저자명 : 정윤희

    초록

    사람들이 삶의 여유와 정신적 행복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기 시작하면서, 이와 관련한 경험적 소비와 경험소비자들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함께 관련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지만, 전체적인 관점에서경험소비자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개별 경험에 참여하는 경험소비자(예를 들어, 영화분야의 영화 관람객,공연분야의 공연 관람객, 박물관 등의 전시 참가자, 여행이나 여가분야의 여행 혹은 여가 참여자)에 한정되어 연구가 진행되었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또한 ‘장벽’이라는 부분이 경험소비자의 실질적인 선호나 선택에 직접적인 영향을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연구는 깊이 있게 진행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별 경험 내에서의 경험소비자가 아닌 전체적인 경험적 소비의 범위에서 경험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경험소비자들이 ‘장벽’과 관련한 어떤 척도를 기준으로 유형화되며, 유형별어떠한 개인적 특성의 차이가 존재하는 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기존에 이와 관련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면접법을 이용해 장벽 관련한 유형화 척도와 그 척도에 의해 분류되는 집단을 규명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군집분석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 ‘장벽이 있는 경험에 대한 태도’, ‘장벽 극복 과정의 적극성과 끈기’, ‘장벽 극복이나 포기 결정의 신중성’등의 세 척도를 기준으로 다섯 가지 유형의 경험소비자가 확인되었다. 이는 장벽이 있는 경험자체를 별로 선호하지않는 ‘장벽 회피형’, 장벽이 있는 경험을 선호하고 도전하고자 하는 ‘장벽 추구형’, 장벽이 있는 경험을 선호하지는않지만, 원래 좋아하는 경험이라면 장벽과 무관하게 도전하는 ‘장벽 무시 노력형’, 장벽이 있는 경험을 멋있게 생각하지만 자신감과 능력이 부족해서 잘 도전하지 않는 ‘노력 없는 선망형’, 장벽이 있는 경험에 대해 극복 가능성을 생각하고 신중하게 도전하는 ‘중립적 포기/노력형’을 포함한다. 이들 다섯 유형은 ‘낙관성향’, ‘경험관여수준’ 등의 개인특성에서 각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벽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해주며 장벽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이론적 실무적으로 기여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defines the types of consumers based on experiential consumption barrier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types of consumers, but these researches have several limitations. First, most of the studies have progressed in the separated experience field (ex.
    leisure, movie, exhibition, game, performance), so there are only few researches that help us understand experiential consumers comprehensively. The competitive range of experience is getting wider, so, there’s a need to deal with not only specific experiences but also general experiences as research objects. Second, the previous studies have used only a few criteria,such as democratic variables, lifestyles, and motives. Despite the importance of barriers, the studies are insufficient to confirm these effects. A barrier is defined as something such as a rule, law, or policy that makes it difficult or impossible for something to happen or be achieved.
    Since a barrier has direct effects on the choice in experiential consumption, it is important to explain the role of barrier in clarification of experiential consumer.
    So, this study attempts to complement the lack of the existing research with the following purposes. First, it is to confirm the scale which is able to classify experiential consumers based on barrier. Second, it is to suggest the types of experiential consumers by using the scale. Third,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the differences of personal traits in each type.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used. Since the previous studies were not enough, the scale and the type of consumer were explored by using two qualitative research methods-focus group interview and in-depth interview-, and then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were tested by using a survey research method. Prestudy interviews with approximately seven informers guided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related to the experiential consumer’ type. All scales were measured using five-point response scales anchored by strongly disagree(1) and strongly agree(5). We collected 369 data and used 358to test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the test process, this study shows several meaningful results as follows. The type of people related the barriers a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and cluster analysis, five types were found, which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ee scales (attitude on the experience with barrier, positivity and enthusiasm of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barrier, prudence of decision to overcome or give up the barrier). Five types include avoiders of barrier(the type which has a negative attitude on barriers and avoids barrier passively),seekers of barrier(the type which has a positive attitude on barrier and seeks barriers actively),ignorers of barrier(the type which doesn’t have a positive attitude on barriers but try to get over barriers for their favorite experience), admirers of barrier(the type which has a positive attitude but hardly tries the experience with barriers), and neutralists(the type which decides to try according to possibility of conquest). They hav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ptimism (-relatively high level in seekers of barrier(M=6.07) and neutralists(M=5.60), middle level in ignorers of barrier(M=5.14), relatively low level in avoiders of barrier(M= 4.49) and admirers of barrier(M=4.94)-), and level of involvement to experience.(-relatively high level in seekers of barrier(M=6.01) and neutralists (M=5.83), middle level in ignorers of barrier(M=4.92) and admirers of barrier (M=5.00), relatively low level in avoiders of barrier (M=4.25)-).
    These results provide new perspectives on barrier and contribute to the academic development.
    From a research perspective, the type of experiential consumer that we propose and test provides a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experiential consumption. It is also one of the first studies to show up the different role of barrier. Although this study is exploratory in nature,it still provides some guidelines to managers in regard to applying barriers. It is critical that practitioners and academics realize that the application of barrier in marketing has become import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