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럽인권협약 제16의정서에 담긴 유럽인권재판소의 권고적 관할권: EU사법재판소의 선결적 부탁절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Advisory Jurisdiction of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contained in Protocol No 16 to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centering on its comparison with the preliminary reference proc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6.03
22P 미리보기
유럽인권협약 제16의정서에 담긴 유럽인권재판소의 권고적 관할권: EU사법재판소의 선결적 부탁절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61권 / 1호 / 49 ~ 70페이지
    · 저자명 : 김대순

    초록

    유럽인권협약의 진화가 계속되고 있다. 2013년 유럽인권협약 체약국들은 제16의정서를 채택하고 서명을 위하여 개방하였는데, 동 의정서의 목적은 유럽인권재판소에 체약국 재판소들에게 권고적 의견을 부여할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의정서는 이를 통해 “유럽인권재판소와 국내당국 간의 상호작용을 고양하고 이로써 보충성의 원칙에 따라 협약의 이행을 강화하려는” 의도이다. 의정서의 기본구도에 따르면, 첫째, ‘각 체약국에 의해 지명된 체약국의 가장 높은 재판소들’만이 유럽인권협약 혹은 그 의정서들에 정의된 권리와 자유의 해석 또는 적용에 관련되는 원칙의 문제들에 대해 권고적 의견을 줄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둘째, 청구재판소는 자신에게 계류 중인 사건과 관련하여 권고적 의견을 청구할 ‘수’ 있으며, 따라서 청구 여부는 국내청구재판소의 재량적 판단에 맡겨져 있다. 셋째, 유럽인권재판소가 부여하는 권고적 의견은 그 자체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이 아니다. 제16의정서에 의해 유럽인권재판소에 부여된 이 새로운 권고적 관할권은 일견 선결적 부탁 절차의 이름으로 EU사법재판소에 부여된 관할권과 비슷해 보인다. 그러나 전자는 특히 세 가지 측면에서 후자에 훨씬 못 미치고 있다. 첫째, EU행위의 해석 혹은 유효성에 관련한 EU사법재판소의 선결적 판결은 부탁재판소에게 구속력이 있다. 둘째, EU회원국의 그 어떤 재판소도 EU사법재판소에 선결적 판결을 구할 수 있다. 셋째, 그 결정에 대해 국내법상 더 이상의 구제수단이 없는 EU회원국의 재판소는 EU사법재판소에 선결적 판결을 구할 의무가 있다. 이들 두 절차 간의 차이는 유럽인권협약에 기초한 유럽의 인권체제는 EU법과는 달리 초국가적 성격을 가진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제16의정서는 이것을 수락하는 체약국에 대해서만 적용되며, 10개국이 비준하면 우선 발효하도록 되어 있다. 이제 유럽인권협약 체약국들의 다음 목표는 아마도 제16의정서의 권고적 의견 절차를 협약 본문에 도입하여 모든 체약국에게 적용되는 의무적 절차로 확대하는 것이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e evolution of the European Convention on Human Rights (ECHR) is never stopping. In 2013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e ECHR adopted and opened for signature Protocol No 16, whose aim is to confer upon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he competence to give advisory opinions to the national courts or tribunals of the Contracting Parties. This is designed to “enhanc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nd national authorities and thereby reinforc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ccording to the basic scheme of the Protocol, only “highest courts and tribunals of a High Contracting Party” designated by each Contracting Party may request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to give advisory opinions “on questions of principle relating to the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the rights and freedoms defined in the [ECHR] or the protocols thereto”; the requesting court or tribunal ‘may’ seek an advisory opinion in the context of a case pending before it; and advisory opinions given by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shall not be binding. Although this new advisory jurisdiction conferred upon the European Court of Human Rights at first glance looks similar to the jurisdiction given to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in the name of the preliminary reference procedure, the former is far behind the latter, especially in the respects that the preliminary ‘rulings’ of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 concerning the interpretation or the validity of the EU acts are binding on the national courts which requested the rulings, that ‘any’ court of tribunal of a Member State of the EU may request the Court to give a ruling, and that the court or tribunal of a Member State against whose decisions there is no judicial remedy under national law ‘shall’ ask the Court for the ruling. The bas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rocedures seem to reflect the fact that the European human rights regime based on the ECHR is not supranational while the EU law is. Protocol No 16 is facultative and set to enter into force with ten ratifications. The next step will possibly be to make it compulsory to all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e Conventio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