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도 영유권 문제와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 (The Issue of Territorial Rights over Dokdo and the Jurisdiction of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5.06
43P 미리보기
독도 영유권 문제와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도연구 / 18호 / 193 ~ 235페이지
    · 저자명 : 제성호

    초록

    일본은 1954년 이래 지금까지 3차례 독도 영유권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에서 해결할 것을 한국에 제의해 왔다. 한국 정부는 독도는 역사적 및 국제법적으로 명백한 한국의 고유영토라는 입장에서 한·일 양국 간에 독도분쟁이란 것이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할 수도 없다는 기본입장을 시종 고수하고 있다. 이런 시각에서 일본의 제의를 일축 내지 거부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도 영유권 문제가 한국의 의사에 반하여 국제사법재판소에 제소되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상정하고 그에 대한 대비책을 강구하는 것은 유비무환의 차원에서도 바람직한 일이다. 국제사법재판소의 관할권은 기본적으로 임의적이며 당사국의 동의에 기초한다. 따라서 한국은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해서 국제사법재판소의 강제관할권을 설정할 가능성이 있는 포괄적인 재판조약이나 재판조항을 미리 체결 또는 마련해 두지 말아야 한다. 또한 국제사법재판소규정 제36조 제2항에 명시된 선택조항을 수락하는 선언을 발표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일본이 국제사법재판소에 일방적으로 제소한 후 이른바 확대관할권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법외교 차원의 대응에 유의해야 한다. 이와 관련해서 국제사법재판소 판결에 나타난 법리에 대한 치밀한 연구·분석이 요구된다. 이밖에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를 경유한 국제사법재판소 제소 가능성에도 철저하게 대비해야 한다.

    영어초록

    Up to now, Japan has proposed to Republic of Korea(ROK) three times since 1954 that the issue of territorial rights over Dokdo should be taken to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ICJ) for the judicial settlement. But the ROK government has refused or ignored such proposal in a resolute manner. That’s because it has maintained a basic stance Dokdo is an integral part of Korea historically and under international Law as well, and in this perspective there is and can be no dispute concerning the small islets between South Korea and Japan. Notwithstanding, it is desirable Seoul should prepare for the worst scenario in which Dokdo issue is referred to the ICJ against the will of ROK. Adjudicative jurisdiction of ICJ is fundamentally optional and depends on consent of the parties. So the most important Korean choice is its government should not confer compulsory jurisdiction upon the ICJ, by the way of concluding comprehensive treaty for judicial settlement, inserting compromissary clause in a specific agreement, or accepting the so-called “Optional Clause” provided in Article 36 Paragraph 2 of the ICJ Statute. Next, South Korea prudently take precautions against the possibility of Forum Prorogatum or prorogated jurisdiction after Tokyo sent a unilateral application of a lawsuit with the ICJ. In this point of view, it is quite necessary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make elaborate analysis of the jurisprudence to be drawn from judgments sentenced by the international courts. In addition, it should work out thorough measures for the situation where Japan submits Dokdo issue to the ICJ via U.N. Security Counci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