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의 蘇州碼子와 開城商人의 胡算 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China’s Suzhoumazi and Korea’s Hos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5.03
39P 미리보기
중국의 蘇州碼子와 開城商人의 胡算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번역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 / 69권 / 281 ~ 319페이지
    · 저자명 : 안광호

    초록

    중국의 소주마자와 한국의 호산은 모두 아라비아 숫자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기 이전에 각기 중국 사회와 한국 사회에서 사용된 숫자 기호이다. 이 두 문자는 비록 그 명칭이 다를지라도, 그 형태와 내용에 있어서는 동일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소주마자는 중국 고대 사회에서 발달하였던 이른바 ‘算籌記數法’에서 유래하였으며, 이 산주기수법이 唐代와 宋ㆍ元代를 지나 明代에 이르러 소주마자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리고 淸代에 이르러서는 거의 모든 중국 사회에서 사용되었다. 한국의 호산이 언제부터 한국 사회에서 사용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중국 算學의 영향을 받아 조선 사회에서 편찬된 算學書에는 중국 산주기수법이 筆算化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조선 말기의 회계 장부에서도 호산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20세기 초에 이르러서는 개성상인의 ‘四介治簿法’ 가운데 하나로 정리되었다.
    한국의 일부 연구자들은 중국의 소주마자와 한국의 호산을 별개의 문자로 바라보고, 한국의 호산을 한국 사회에서 만들어진 독창적인 문자로 이해하는 경향이 있다. 이들에 따르면, 호산의 ‘胡’자는 중국인들이 한국 사회를 낮추어 부르는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본고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중국의 소주마자와 한국의 호산은 동일한 문자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호산의 ‘호’자는 중국인들이 한국 사회를 낮추어 부리기 위해 사용한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이 중국 사회를 가리키면서 사용한 것이다. 또, 중국의 소주마자나 한국의 호산과 유사한 문자들이 한ㆍ중 양국 사회이외에도 일본, 대만, 말레이시아, 베트남에서도 사용되었다.

    영어초록

    Suzhoumazi in China and Hosan in Korea were both numerical symbols used in traditional Chinese and Korean societies before Arabic numerals were commonly used. Although these two characters have different names, they appear to be the same in form and content. Suzhoumazi in China originated from the the method reffered to as ‘suanchoujishu’ which was developed in ancient Chinese society, and this method appeared in the form of Suzhoumazi during Ming dynasty After passing through the Tang, Song, andi Yuan dynasty periods, by the time of Qing dynasty this mothod was used in almost all chinese societies. It is not clear when Korea's Hosan began to be used in Korean society. However, in the books compiled during Joseon society under the influence of Chinese scholarship, the Chinese method of Suanchoujishu appears in the form of written characters, and Korea’s Hosan also appears in the accounting book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20th century, Hosan was organized as one of the ‘Sajaechibubeop’ of Kaesong merchants.
    Some Korean researchers tend to look at China's Suzhoumasi and Korea's Hosan as separate characters, and regard Korea's Hosan to be original characters made in Korean society. Also according to some of these scholars, the character of ‘Ho’ in Hosan was also a lowering term the Chinese call used to refer to Korean society. However, as can be seen in this paper, Suzhoumazi in China and Hosan in Korea consist of the same characters. And ‘Ho’ in Hosan was not used by the Chinese to lower Korean society, but by Koreans to refer to Chinese society. In addition, characters similar to China's Suzhoumazi and Korea's Hosan were also used in Japan, Taiwan, Malaysia, and Vietn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