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악인 정남희의 월북과 판소리사적 의미 (What Jeong Nam-hui took to North Korea and its meaning in Pansori history)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7.04
42P 미리보기
국악인 정남희의 월북과 판소리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판소리연구 / 43호 / 139 ~ 180페이지
    · 저자명 : 이태화

    초록

    정남희는 가야금 산조와 병창의 명인이다. 그러나 연주자로서만이 아니라 창극 배우이자 국악계의 일꾼으로서도 상당히 활약했다. 그는 조선성악연구회 결성 당시부터 무대 안팎으로 창극 공연 활동에 적극 참여했으며, 해방공간에서도 민족음악 재건 활동에 열성을 보였다. 그런데 1950년 6·25 전쟁이 일어나자 기다렸다는 듯이 북으로 넘어갔다. 해방공간에서 이미 남로당원의 적을 가지고 있었거니와 월북 이후 북한의 건국 초기에 왕성한 문화예술 사업으로 한몫을 담당하여 인민배우의 반열에 올랐다. 예술인으로서는 숙청된 이후에도 가야금 교육자로서 많은 후진을 양성해냈다.
    정남희가 북한을 택한 것은 뚜렷한 이념 성향에서 기인한 것은 아닌 듯하다. 자료의 부족으로 그의 정치적 행보를 자세히 확인할 수는 없으나, 그가 북한을 선택한 것은 천대 받는 예술인의 부당한 공연 활동이 사회주의 체제가 해결해 줄 것이라는 간명한 이유에서였을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정남희에 주목하면서 강조하고 싶은 점은, 일제강점기에 활발하게 활동했던 예술인들의 월북으로 인해 남한의 국악계가 재건 동력을 많이 잃었다는 것이다. 정남희뿐 아니라 그와 함께 월북했던 다른 예술인들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그들 대부분은 일제강점기를 거쳐 해방 후까지도 남한에서 가장 활발하게 공연 활동을 펼치던 이들이었다.

    영어초록

    Jeong Nam-hui, a master of the gayageum sanjo (散調) and gayageum byeongchang (竝唱), is not only a musical performer but also a changgeuk (唱劇) actor who is active in the local music industry. Since joining the Joseon Seongak Yeonguhoe (朝鮮聲樂硏究會), he had participated actively both backstage and onstage in the performance of theatrical works, and showed enthusiasm for ethnic musical reconstruction activities even during the liberation space. When the Korean War began, he went to North Korea. Although he was part of the South Korean Labor Party during the liberation space, he was responsible for the vibrant cultural art projects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North Korea, and was a popular actor. Even after being purged as an artist, Jeong struggled and made progress as a Gayageum educator.
    Jeong’s selection of North Korea was not based on his ideological tendency. Although his political leanings cannot be confirmed because of the lack of source materials, he seemed to have selected North Korea because of his belief that the socialist system would solve the improper performance activities of artists. This study presents Jeong as an active art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but who lost his power when he went to North Korea to rebuild the Korean musical field. An examination of not only Jeong Nam-hui but also the other artists who went to North Korea with him is necessary. Most of them were the most active in Korea from after the liberation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판소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