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제도포로수용소의 9ㆍ17폭동 연구 (A Study of ‘9ㆍ17 riot’ in Geoje POW Camp)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6.03
40P 미리보기
거제도포로수용소의 9ㆍ17폭동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86호 / 201 ~ 240페이지
    · 저자명 : 성강현

    초록

    6ㆍ25전쟁 기간 북한군 포로는 14만 명정도였다.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가 바꾸자 급증한 포로를 수용하고 관리하기 위해 부산에 포로수용소가 마련되었으나 보안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이듬해 거제도에 포로수용소를 옮겼다. 포로는 인민군, 중국군 등 원 소속에 따라 대단위로 수용되어 이념 갈등의 소지가 있었다. 수용소 운영이 포로들의 자치로 이루어져 단위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이 이루어졌고 이 과정에서 포로들은 친공과 반공으로 갈리게 되었다.
    1951년 7월의 정전회담의 개시는 포로수용소를 이념 갈등의 장으로 만들었다. 수용소를 장악하기 위한 친공 포로와 반공 포로의 주도권 다툼은 유혈사태화 되었는데 ‘9ㆍ17폭동’은 그 중 하나였다. 구술 증언을 통해 85수용소에서 자행된 ‘9ㆍ17폭동’에서 천도교 포로 14명 내외가 살해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 사건을 입증할 수 있는 자료가 NARA문서에서 ‘9ㆍ17폭동 사료’가 발견되어 사건의 진상을 밝힐 수 있었다. 이 사료에는 한 박찬호 등 15명의 포로가 강만인 등 친공포로에 의해 북한에서 천도교청우당 활동 등 반공활동을 빌미로 인민재판을 열고 막사 폴대 등으로 무참히 학살하였다. 천도교 포로가 학살된 이유는 송환거부 혈서 작성이었다. 천도교는 해방후 북한에서 자주국가 건설을 위해 북한 정권과 연합전선을 펼쳤지만 사회주의 체제가 공고화되면서 배제되었고 이것이 북한 천도교인의 반공 활동과 포로의 송환 반대로 나타나 친공포로에 의해 살해되었다.
    85수용소에 발생한 ‘9ㆍ17폭동’은 천도교 포로의 반공 활동으로 인한 친공포로의 학살사건이었다. 그리고 천도교 포로들은 이를 기점으로 반공의 길에 앞장서게 되었다. 이는 지금까지의 반공포로의 발생이 이승만 정권의 자유주의적 우월성과 미군의 인도주의적 정책으로 이루어졌다고 보는 시각과는 다르다. 천도교 포로들의 반공 활동은 전쟁 이전에 이미 북한에서 사회주의 체제에 의한 천도교 세력에 대한 배제에 기인하였다. 북한 사회주의 정권 수립의 한 축을 담당했던 북한 천도교 세력이 사회주의 정권 확립 과정에서 배제되고 주도적 인물들이 사회주의 정권에 의해 제거되자 이에 대한 반발이 수용소에서의 반공 활동으로 구체화되었다.

    영어초록

    The number of N.K. prisoners during Korean War was about 140,000. It had rapidly increased after the Incheon on Sept. 15, 1950 landing and POW was constructed in Busan to hold the prisoners. But, POW had to be moved to Goeje the next year for security reasons. It was likely that ideological conflicts were around because a lot of prisoners were locked up at the same place regardless of their nationalities. There were a leadership struggle between anti-communists prisoners and pro-communists prisoners because POW was run autonomously by them.
    The opening of a cease-fire conference in July, 1951 caused an ideological conflict in pow camp. A struggle for leadership between pro-communists and anti-communists of POW brought about bloodsheds, one of which was ‘9ㆍ17 riot’. About 14 Cheondogyo POWs were killed in the riot of the 85 camp, according to the testimony of a witness. The full picture of the riot was revealed through the document of '9ㆍ17 riot' of NARA. 10 pro-communists including Kangmanin killed with poles of barracks 15 anti-communists including Parkchanho who were Cheondogyo POW because of their activities in Cheondogyo Cheongwoo Party and the writing of refusal of repatriation in blood. Cheondogyo formed united front with North Korean government in order to establish a sovereign state in North Korea, but N.K. government excluded it when a socialist regime was solidified. This was why Cheondogyo believers were killed by pro-communists for their anti-communist activities and the objection of the repatriation of POW.
    ‘9ㆍ17 riot’ which happened in 85 POW camp was a massacre in which pro-communists prisoner killed Cheondogyo prisoners for their anti-communists activities. Cheondogyo prisoners took the initiative for anti-communists movement. This point of view was different from the view that anti-communists movement by POW occurred with Rhee regimes’ superiority of liberalism and the US army’s humanitarian policies. Anti-communists movement of Cheondogyo resulted from the N.K. government’s exclusion of Cheondogyo under socialist system. In other words, Cheondogyo believers took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a socialist regime in N.K, but N.K. govenrment excluded them after the regime was builded firmly and killed leading believers. This was followed by anti-communists movement in POW cam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