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小林一茶의 ≪시경≫ 俳句化 양상 고찰 (Kobayashi Issa’s ≪Shi jing≫ Hiku-ka and that meani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7.09
32P 미리보기
小林一茶의 ≪시경≫ 俳句化 양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고전연구 / 68호 / 539 ~ 570페이지
    · 저자명 : 유정란

    초록

    이 글은 小林一茶(고바야시 잇사, 1763-1827, 이하 ‘잇사’라고 칭함)의 ≪시경≫ 俳句(이하 ‘하이쿠’라고 칭함)化 양상을 살피고 그 의미를 도출한 것이다. 잇사는 1803년 ≪시경≫을 공부하고, 이를 하이쿠로 재창작하여 ≪享和句帖≫을 작성했다.
    현재까지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없으며, 일본과 중국에서 잇사의 ≪시경≫ 수용 양상을 다룬 바 있다. 그러나 그 내용은 주로 國風에 한정되었으며 연구자들 사이에 용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 다양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작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번역이라는 관점을 지양하고 俳句化라고 명명하였다. 나아가 두 장르간의 심층적인 교류와 영향 관계를 문학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시경≫ 俳句化 양상을 주제의식의 재현,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 의경 전화와 제목 차용의 층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주제의식의 재현에서는 주로 고향이나 부모를 그리워하는 작품이 선별되어 俳句化 되었다. 이때 단순한 주제 차용의 수준이 아니라 핵심 의미를 도출, 주석을 고려하여 해석하거나 잇사 개인의 원작 이해가 많이 개입되었음을 살폈다. 시어와 이미지의 변용에서는 해당 원천들의 의미를 절취하거나 조합하여 자신의 방식대로 해석한 작품이 두드러졌다. 의경 전화에서는 일본적 정경으로 그 분위기를 바꾸는 작품이 있었는가하면, 제목 차용의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작품도 존재했다.
    俳句化의 의식 지향은 ≪시경≫의 감정이나 격앙된 어조, 비난 등을 의도적으로 탈락시키고 이치를 배척하거나 詩敎의 관점을 탈피한 것, 도덕적 이상을 담아내지 않는 작품에서 찾을 수 있었다. 잇사는 ≪시경≫을 하이쿠로 옮겨 올 때 매우 많은 부분에서 하이쿠적인 감상과 습관을 자각적으로 사용한 것이다. 잇사가 ≪시경≫을 俳句化한 것의 의미는 우리의 ≪시경≫ 수용과 대조해볼 때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조선에서는 ≪시경≫을 언해하였지만 의역이 아닌 직역을 하였기 때문에 ≪시경≫ 원문의 글자가 유지되었다. 일본의 경우도 훈독체로 ≪시경≫을 수용하였기 때문에 원 글자가 바뀌지는 않았다. 그러나 잇사는 ≪시경≫의 출발점인 민요의 성격을 드러내기 위하여 일본의 민족어 시가 형태로 그 내용을 옮겼다. 동아시아의 보편적인 ≪시경≫ 수용 방식을 벗어나 잇사는 민족어 시가로 ≪시경≫에 대응한 것이다. 따라서 잇사의 ≪시경≫ 俳句化의 의미를 본래 ≪시경≫의 출발점인 노래 그 자체로 인식하여 받아들인 태도에서 찾아야 할 것이라고 보았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for considering and looking through the meaning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Hiku-ka of Kobayashi Issa before reviewing and adapting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Eastern Asia. Issa wrote his works by using Hyanghwa-Gucheop in 1803, and he had adopted it as his creative works of Hikai absorbing Classic of Poetry(Shi jing) for about half a year.
    There has been no national study about this so far, and this study covered the aspects of Issa’s adapting way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Japan and China.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that the contents were limited to Guo-feng and there were no agreement of terminology as well among researcher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erefore, this article aimed at all the works, rejected the view point as just a translation, and denominated this study as Haiku-ka.
    Above all, this study looked though Issa’s Classic of Poetry(Shi jing) by splitting the aspects of Haiku-ka into borrowing topics and materials. In borrowing topics, the works with the topics of homesick and nostalgic parents stood out. Furthermore, annotations and understandings of Issa’s original works were deeply involved. In borrowing materials, the original meanings in the works were transformed and changed or even reinterpreted by their own way.
    Eliminating sublime emotions, furious tone, and condemnation was main characteristic of Haiku-ka in Classic of Poetry(Shi jing). Besides, there were ways of exclusion of reasoning, deviating from the viewpoint of Sigyo(edification by poetry), not including moral senses. In other words, Issa used habits and impressions like the way of Haiku when he was doing Haiku-ka in Classic of Poetry(Shi jing).
    The meaning that Issa’s Hiku-ka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stood out compared to adaptation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Eastern Asia. Although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Vietnam was transferred in the form of the poem in Vernacular, the meaning and contents were not changed. Moreover, the original works and characters in Joseon were not destroyed because Classic of Poetry(Shi jing) was not liberally translated but literally. However, Issa transferred the Classic of Poetry(Shi jing) in the form of the poem in Vernacular to reveal the value of popular ballads. This was a different adapting way of Classic of Poetry(Shi jing) from that in Eastern 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