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素窩 許巑의 학문과 문학 (The Study and Literature of Sowa Heo Ch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12.03
40P 미리보기
素窩 許巑의 학문과 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南冥學硏究 / 33호 / 71 ~ 110페이지
    · 저자명 : 최석기

    초록

    이 글은 素窩 許巑의 학문과 문학을 조명한 것이다. 소와는 구한말 의령을 대표하는 유학자로서 性齋 許傳의 문하에서 배웠다. 39세 때부터 자굴산에 은거하여 당호를 ‘素窩’라 하였는데, 이는 『주역』 履卦에서 취한 것으로 처한 현실 속에서 분수와 지조를 지키며 살겠다는 처세 방식이다. 그는 유교의 도가 무너지는 시대를 살면서 도를 保衛하기 위해 講學을 하고, 선현의 서책을 간행하고, 서당·서원을 중건하는 등의 일을 주선하였다. 그의 인물성격은 淸芬苦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는 나라를 빼앗기고 도가 무너진 시대를 살아간 그의 志趣였다.
    소와는 155수의 시를 남겼는데, 홀로 은거하며 느낀 정서를 노래한 것, 잠 못 이루는 밤의 정서를 노래한 것, 俗塵을 벗어나 본성을 잃지 않으려 한 것, 동지들과 만났을 때의 소회를 노래한 것, 도가 무너지고 나라가 망한 세상을 살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으려 한 정조를 노래한 것 등이 두드러지게 많다. 그의 시에 나타난 작가의식은, 은거하여 도를 구하는 지취, 淸風明月처럼 흉금을 깨끗하고 밝게 하려는 의식, 처한 현실에 따라 본분을 돌아보고 지조를 지키며 사고자 하는 의식, 암흑 세상을 비춰줄 明月이 뜨기를 바라는 不遠復 의식 등을 들 수 있다.
    소와는 남인계 학자로서 퇴계학파에 속한 인물이다. 그는 사단칠정론·태극동정설 등 성리설에 대해 당시 제기된 새로운 설을 따르지 않고 주자·퇴계 등 전통적인 설을 그대로 추종하였다. 이를 보면, 隋時變化보다는 선현의 도를 遵行하고 保衛하려는 성향을 가졌던 학자라 하겠다. 그런데 그의 학문성향 속에는 심성수양을 통해 도덕적 주체를 확립하고 일상에서 그 도를 실천해 나가는 실천정신과 綱常의 道를 곧추세우려 하는 節義精神이 들어 있다. 이를 보면, 그는 경상우도 지역에 전승된 남명정신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study and literature of Sowa Heo Chan, who was one of the utmost Confucian scholars of Uiryeong in late Joseon and studied under Seongjae Heo Jeon. He started a reclusive life at Mt. Jagul at the age of 39 and named his Dangho "Sowa," which was based on the Li trigram of the Book of Changes and reflected his way of life sticking to his means and integrity in the given reality. Living in an age of crumbling teachings of Confucianism, he studied hard to preserve them, published the books of ancient sages, and took an initiative in repairing village schools and lecture halls. His personality can be summed in Cheongbungojeol, which was his determination and tendency of living the age when his country was usurped and Confucian teachings were toppled down.
    He left 155 poems, most of them were about his sentiments while living a lone, reclusive life, his emotions on sleepless nights, his determination not to lose his nature out of secular world, his cherished impressions when uniting with his colleagues, and his faithfulness of never losing hope living in the world where Confucian teachings broke down and the country fell. In his works, he demonstrated such consciousness as a writer as determination and integrity to pursue truth in a reclusive life, willingness to clear and illuminate his mind like a fresh wind and a bright moon, perception of reflecting his means and keeping his integrity in the given reality, and Bulwonbok of hoping a bright moon rising up and shedding light on the dark world.
    Sowa belonged to the Toigye School as a Namin scholar. He followed the traditional theories of Zhu Zi and Toigye instead of new theories proposed regarding Seongriseol such as Sadanchiljeongron and Taegeukdongjeongseol, which indicates he was a scholar with a tendency of observing and preserving the teachings of ancient sages rather than going through changes at any time. His academic tendencies include a spirit of practice, which involves establishing a moral subject through mind and body cultivation and practicing the teachings, and a spirit of adhering to his principles, which involves establishing the teachings of morality right. Those aspects clearly show that he inherited the Nammyeong spirit passed down in the Gyeongsangwoo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南冥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