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보건소 업무 중요도 및 공간 적절성에 관한 연구 -일개 시 보건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of Community Health Centers -With a Focus on Community Health Centers in a City-)

1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7.06
11P 미리보기
보건소 업무 중요도 및 공간 적절성에 관한 연구 -일개 시 보건소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2호 / 611 ~ 621페이지
    · 저자명 : 장정미, 이소은

    초록

    과거의 보건소의 기능이 전염병 관리나 가족계획사업과 같은 1차 보건사업에서 지역사회 주민을 위한보건으로 점차 확대되고 다각화로 변화됨에 따라 보건소 업무에 따른 보건소 공간의 적절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으로 유기적으로 발전되고 있는 보건소의 업무와 프로그램, 이와 관련된 공간의 적절성에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에 따른 보건소사업프로그램이 다양해짐에 따라 현재 보건소 업무중요도와 공간 적절성을 분석함으로서 향후 지역주민의 보건 서비스를 위한 보건소 공간계획에 필요한 기초 자료 및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한다.
    연구방법은 설문지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경기도 소재 지역의 보건소 직원 126명을 대상으로설문을 실시하였다. 국내외 정보 D/B 및 논문과 단행본을 포함한 도서⋅출판물 등 문헌조사와 1차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예비조사는 보건소에 20년 이상근무 경력의 직원 3명을 대상으로 Depth Interview 방식을 활용하여 보건소 각 기능과 공간의 특성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설계, 조사, 분석의순으로 진행되어졌다.
    본 연구의 범위와 내용에는 논문, 관련서적 및 참고문헌의 선행연구를 통해 보건소 업무 중요도와 공간구성의 적절성에 대한 고찰과 설문지를 통한 분석 및보건소 업무공간에 관련한 제언이 포함되어진다.
    업무중요도 분석 결과, 업무중요도의 125점(5점) 중평균 96.15점(3.85점)으로, 이 중 결핵관리가 업무중요도가 가장 높았고, 금연사업, 보건교육, 만성질환 순으로 업무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검진이업무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타나났다.
    공간적절성은 165점(5점) 중 평균 94.55점(2.87점)으로 공간적절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예방 접종실이 공간적절성이 가장 낮고 다음은 방문보건실, 민원실 순으로 공간적절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의 중요도와 공간 적절성을 현재 보건소에서운영 중인 조직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질병관리와 행정사무를 제외한 의료검사, 건강증진, 지역보건, 감염병 관리는 업무의 중요도와 공간적절성이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업무 중요도에 비해 공간은 협소한 것으로 분석되어졌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보건소에서 업무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고 공간이 기획되어진 것으로, 향후 보건소공간 계획 수립 시 업무 중요도를 고려한 공간 배분과 지역 사회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공간 계획의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In the past, community health centers used to engage in primary health projects including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and family planning.
    Today their functions have become extensive and diversified gradually for the health of residents in the community. It is time to initiate discussions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space in community health centers according to their tasks. There is a rising need to investigate the tasks and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which have been developing organically,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ir concerned space. The reality, however, indicates poor research efforts for the topic.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of curren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response to the increasingly diverse projects and program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providing basic data and guidance needed to make space plans for community health centers to provide local residents with better health service.
    The study employed the survey technique for its methodolog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26 staffer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It was accompanied by literature study on the information databases, papers, and publications including books home and abroad and also a primary preliminary study, which involved three staffers with a career of 20 years or longer at a community health center in a depth interview and classified the functions and spatial features of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results were then used in questionnaire design, survey, and analysis in the order.
    The scope and content of the present study encompassed papers, related books, and references in previous studies, investigations into the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tial composition of community health centers, analysis of questionnaire responses, and proposals for the working space of community health centers.
    The analysis results of task importance show that they scored mean 96.15 points(3.85 points) out of 125(5) and that tuberculosis management recorded the highest task importance, being followed by anti-smoking projects, health education, and chronic diseases in the order. Checkup recorded the lowest level of task importance.
    The appropriateness of space was low at mean 94.55 points(2.87 points) out of 165(5). The vaccination room recorded the lowest level of space appropriateness, being followed by the visiting healthcare room and the civil service room in the order.
    The study then analyzed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that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were currently running and found inverse correlations between task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space in medical examination, promotion of health, local healthcare, and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Disease control and administrative affairs were exception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some important tasks were given small space.
    Those findings suggest that the community health centers made spatial plans without taking task importance into consideration. They will serve as basic data in future spatial plans at community health centers to allow for spatial allocation according to task importance and spatial planning for organic connections with the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