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Development of Symbolic Space Design through Site-Specific Art - Seuldo Island Park, Dong-gu, Ulsan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6.08
12P 미리보기
Development of Symbolic Space Design through Site-Specific Art - Seuldo Island Park, Dong-gu, Ulsan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1권 / 4호 / 9 ~ 20페이지
    · 저자명 : 김철중, 이주형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Placeness is a historical product which accumulates empirical memor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space. Unique placeness of the region is formed based on a variety of daily experiences and the image of place reflects the overall reality of region. Site-specific art symbolizes space based on contextual rela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regional identity. To regenerate Seuldo Island Park, located in eastern part of Ulsan, as a meaningful place, this study reflects demand and made design.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symbolic space of Seuldo Island Park is a spatial design through the medium of site-specific art and it forms regional identity and brings landmark aspect and regenerates the space for symbolic cultural park that harmonizes with surroundings.(Method)The target of design development was the entry of Seuldo Island Park located in Bangeo-dong, Dong-Gu, Ulssan and this study designs symbolic place based on site-specific ar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lace. The Method of design was, first, reviewing correlation between site-specific art and the place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drawing symbolic image of region based on location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fact of Seuldo Island Park. Third, setting the concept of space based on symbolic image after current condition analysis and designing symbol object as site-specific art.(Results)This design development is to regenerate the meaning of place based on site-specific art to enhance Seuldo Island Park. In light of status analysis, Seuldo Island Park has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and historical story that goes back to the prehistoric age referring to whale and rocky island with holes. This study designs symbolic object and space based on symbolic image of Seuldo Island Park such as whale carved in stone and rocky island with holes. This study allows regional identity as well as landmark aspects based on historic fact and regional sentiment. The identity of place is formed not only by geographical location or external characteristics but also diverse activities.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design presented by this study is a spatial design through the medium of symbolic object of site-specific art, however it is only one factor that represents placeness. Thus, diverse cultural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established as living space of daily life to fully realize place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