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연향악의 자국 내 재형성에 관한 연구: 부가쿠(舞楽) <소마쿠샤(蘇莫者)>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omestic Reformation of Japanese Kyuteigaku : With a Focus on Bugaku Somakush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6.05
30P 미리보기
일본 연향악의 자국 내 재형성에 관한 연구: 부가쿠(舞楽) &lt;소마쿠샤(蘇莫者)&gt;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 / 28호 / 57 ~ 86페이지
    · 저자명 : 박태규

    초록

    본고에서는 일본의 연향악 범주에 속하는 부가쿠 <소마쿠샤>를 중심으로, 그것의일본 내 재형성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서역의 <소막차>는 더운 지역에서 걸한발수 및 벽사를 기원하던 악무였다. 그러던것이 중국으로 전래돼 당나라 때에는 궁중과 민간으로 나뉘어 각기 다른 공연형태로발전하게 된다. 이후 중국의 <소막차>는 일본으로 전래돼 <소마쿠샤>로 정착하게 되는데, 일본에 전래된 것은 중국 궁중이 아닌 민간에서 공연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궁중악무로서 중앙에서 연행되던 <소마쿠샤>는 시텐노지의 전문악곡으로 정착하게된다. <소마쿠샤>가 시텐노지 전문악곡으로 정착하게 된 이유는 첫째, 본래 <소마쿠샤>가 지닌 12월의 걸한발수가 일본과 맞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용신신앙에 근거한기우와 벽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악곡이 존재하였고, 둘째, 전래 당시 그 음악이 의식음악으로서 불교계에 사용되었기 때문이란 판단된다. 시텐노지 전문악곡으로의 이행 후 <소마쿠샤>는 시텐노지의 역사성과 오미네의 지역성이 반영된 일본만의새로운 모티브를 지니게 된다. 더불어 신선의 춤으로 재편되며 초기의 현실적이며직설적인 성격에서 벗어나 골계적이며 온화한 신선의 춤으로 변모해 가게 된다.
    고대 한반도과 중국, 실크로드 문화를 근저로 형성된 일본의 부가쿠는 전파와 수용의 과정을 거친 후 다시, 모방과 자생의 경계에서 이른바 재형성의 길을 걷게 된다. <소마쿠샤>는 부가쿠 중, 일본 내 재형성의 과정을 거친 대표악곡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In its origin, Somakusha was an unique music/dance item derived from Central Asia region where it used to be performed to bring cold and rain as well as to ward off the evil in ancient time. Then it was spread to China and developed into two styles of the court and the folk at the time of Tang(唐) dynasty. Later, the folk style of Chinese Sumuzhe(蘇莫遮) was introduced into Japan to be settled as a court dance item named Somakusha. Afterwards, Somakusha became an exclusive dance number of Sitennoji(四天王寺) Buddhiat temple once after it stopped to be performed in the royal court. The reason for this change is that; first, its performance set in December to bring cold and rain was considered unfit for Japanese seasonal cycle, and there existed already a dance/music item for exorciam based on dragon-god worship. Second, it came to be applied as a ritual music/dance of Buddhist sort after it was introduced into Japan. Specially, once after it became confined to Sitennoji temple, Somakusha came to acquire new motif that reflects the historicalness of Sitennoji and the regionalism of Omine. Along with this, its nature and style are transformed into gentle hermit’s dance from the realistic, dynamic dance of earlier period. Likewise, Japanese Bugaku that had been formed out of ancient Silk Road culture including China and Korea followed the unique path of reformation in the boundary between imitation and creation after going through propagation and acceptance. Somakusha is a representative example that displays the process of reformation in Bugak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림일본학 (구 한림일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