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온라인 전시 프리젠테이션 특성 분석 - 국립 과학관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Online Exhibition Presentation - case study on national science museum in Korea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6.08
12P 미리보기
온라인 전시 프리젠테이션 특성 분석 - 국립 과학관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17권 / 4호 / 51 ~ 62페이지
    · 저자명 : 김소연

    초록

    정보통신 테크놀러지와 네트워크의 발달, 그리고 디지털 디바이스의 높은 보급률로 수없이 많은 자료와 정보가 디지털화 되고 있으며 다양한 디지털 컨텐츠가 양산되고 있다. 전시 분야도 예외가 아니기에 온라인 전시가 활발하게 전개 되고 있다. 하지만 VR형태로 기존 오프라인 전시를 그대로 옮겨오는 것에 급급하거나 이미지, 텍스트를 나열하는 식으로 다른 웹사이트와 그 프리젠테이션 방법이 크게 다르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전시의 독자적인 프리젠테이션 방법의 모색을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통한 분석기준을 도출하고 온라인 전시의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국립 과학관의 온라인 전시를 사례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오프라인 전시를 옮겨놓는 것에 초점을 두어 온라인 전시의 특장점을 활용한 프리젠테이션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방문객을 수용할 수 있는 여러 프리젠테이션 층이 구축이 부족하였고, 대부분 오프라인 전시를 VR형태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머물러 있을 뿐 온라인 테크놀러지를 활용한 온라인 전시만의 특별한 체험은 찾아볼 수 없었다. 각 층의 연계성과 접근성 또한 많은 개선점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온라인 전시는 단순히 기존의 전시를 가상의 공간에 그대로 옮겨 재생산 하는 것을 의미 하지 않는다. 온라인 전시 공간을 인터렉션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 인식하고 그에 맞는 독자적인 프리젠테이션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온라인 전시의 프리젠테이션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다양한 방문객을 수용할 수 있는 여러 프리젠테이션 층의 구축이 수반되어야 한다. 2)온라인 전시 독자적으로 새로운 전시 컨텍스트의 제공과 적절한 테크놀러지의 활용을 통해 온라인 전시만의 체험을 제공해야 한다. 3) 여러 전시 층에서 방문객의 흥미 변화에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연계되어야 하며 다양한 접근 방법이 쉽게 인지 될 수 있도록 프리젠테이션해야 한다.

    영어초록

    Due to the advance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high rate of digital device penetration, numerable data base and information are being digitized and variety of digital contents are being generated. In line with this trend, on-line exhibition is getting popular. However, their presentation methods are not necessarily different from the off-line exhibitions presenting with virtual reality(VR) or list images and texts as many other websites do. Accordingly, this study was initiated to develop presentation methods exclusively suitable for online advance; by establishing evaluation guidelines using literature search, and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exhibition by selecting online exhibition of National Science Center as an example. The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y merely focused on transferring offline exhibition to online, and the presentation methods developed exclusively for online exhibition were lacking. The proper arrangements of presentation layers attracting variety of visitors were lacking, and the most of presentations were VR displaying merely offline exhibition contents, and there was none for the special experiences exclusive for online exhibition, which effectively utilize information technologies. It was also found that much improvement is needed to enhance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of each layer. The online exhibition is not simple transfer and rearrange of conventional exhibition to digital spac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online exhibition space is a new communication space with much interaction and to search for the exclusive presentation methods for online exhibition. Therefore, the presentation methods for online exhibition propo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Multiple presentation layers for attracting variety of visitors must be established. 2) The online only experience must be provided using suitable technologies and provision of new contexts. 3) Multiple presentation layers must be connected for visitors to move around conveniently to satisfy the changes of visitor's interests and the exhibition must be presented for visitors to easily recognize the various accessi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