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장마인드셋, 고정마인드셋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및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 (The Impact of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Role of Organization Based Self-Esteem)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4.02
32P 미리보기
성장마인드셋, 고정마인드셋이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 및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7권 / 2호 / 343 ~ 374페이지
    · 저자명 : 서정욱, 박지환

    초록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은 기업들에게 도전과 실천을 요구함과 동시에 조직구성원들에게는 변화에 유연하고 빠르게순응할 수 있는 학습능력을 강조하고 있다. 기업들은 구성원들이 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직무소진을예방하여 심리적 웰빙을 향상시키고, 조직 내에서 개인의 목표를 달성하여 번영감을 느끼게 함으로써 조직의지속가능성을 높이고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마인드셋은 학습자가 자신의 능력과 지능의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신념으로 다양한 연구가 되고 있다. 마인드셋은 변화 가능성에 대한 신념에따라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으로 구분되며 성장마인드셋은 도전을 수용하고 어려움에 처해도 포기하지않으며 높은 성취를 이루는 반면, 고정마인드셋은 도전을 회피하고 어려움을 겪을 때 쉽게 포기하며 일찍 정체되고잠재력을 발휘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직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마인드셋 유형에 따라 느끼는 심리적 웰빙 상태및 마인드셋과 심리적 웰빙 사이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마인드셋과 잡크래프팅사이에서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조직에서 개인의 신념 변화와 더불어조직기반자긍심을 고취시키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직장인24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다. 직접효과는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고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을통해 분석하였으며 조절효과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성장마인드셋과 고정마인드셋이 심리적웰빙에 미치는 영향이 각각 정(+)적으로, 부(-)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잡크래프팅은 마인드셋과 심리적웰빙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효과는 성장마인드셋과 잡크래프팅의관계에서만 정(+)적인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정마인드셋과 잡크래프팅 사이에서는 조직기반자긍심의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조직기반자긍심은 잡크래프팅이 매개하는 마인드셋(성장, 고정)과 심리적 웰빙 간의간접효과를 조절하는지 검증한 결과, 성장마인드셋에서는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났으나, 고정마인드셋에서는 조직기반자긍심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실무적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어초록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demands continuous challenges and adaptation from companies while emphasizing the need for organizational members to possess flexible learning abilities to respond quickly to changes. Concurrently, companies are making efforts to prevent job burnout during the process of adapting to changes, aiming to enhance psychological well-being, boost individual goal achievement, and increase organizational sustainability for competitive advantage.
    Mindset, a belief in the potential for change in one's abilities and intelligence, has been the focus of various studies. Mindsets are categorized into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based on beliefs about the potential for change. A growth mindset accepts challenges, perseveres through difficulties, and achieves high accomplishments, while a fixed mindset tends to avoid challenges, easily gives up in the face of difficulties, and experiences early stagnation, failing to realize full potential.
    This study aimed to validat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tate experienced by workplace employ ees based on their mindset types. Additionally, it sought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between mindse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Furthermore, the study ai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job crafting, examining both dir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s to understand how organizational beliefs contribute to individual belief changes and boost organizational members' self-esteem.
    For empirical analysi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2 employees from various industries. Direct effec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was employed for the medi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slope tests were conducted for moderation effe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ed that growth mindset and fixed mindset hav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respectively, on psychological well-being. Job crafting was validated as a media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se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was found to strengthen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growth mindset and job crafting.
    However, this moderating effect was not obser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ixed mindset and job crafting.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regulates the indirect effects of job crafting as a mediator between mindset (growth, fixed)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case of a growth mindset, there was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based self-esteem, while in the case of a fixed mindset, this effect was not observed. Based on these result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eri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