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서브컬처 속 전쟁 표상 - 메이지 대중출판물『햐쿠센햐쿠쇼(百撰百笑)』(1895・1904)를 중심으로 - (Representations of War in Japanese Subculture : focusing on Hyakusen hyakushō(1895・1904) of public publications in the Meiji Period)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21.09
22P 미리보기
일본 서브컬처 속 전쟁 표상 - 메이지 대중출판물『햐쿠센햐쿠쇼(百撰百笑)』(1895・1904)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語文學 / 1권 / 90호 / 249 ~ 270페이지
    · 저자명 : 손정아

    초록

    『햐쿠센하쿠쇼(百撰百笑)』(1895・1904)는 에도시대 미디어인 우키요에의 혼종 형태로 메이지 시대에 유행한 것이다. 오늘날에는 일본의 귀중한 전통 문화가 된 우키요에도 메이지 시대에는 정보 전달의 역할을 담당한 매체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었는데 다양한 변종들이 생겨나 일종의 서브컬처 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에도・메이지의 서브컬처 매체와 현대 서브컬처 매체는 발생의 측면에서는 다를지라도 그것들이 가진 강한 대중성으로 인해 결과적으로는 정치・사회적 기능으로서의 역할을 해왔다는, 무척 닮은 구석이 발견된다.
    이 논문을 통해 『햐쿠센하쿠쇼』의 형식은 에도시대 서민들이 즐겼던 것과 유사하나, 내용면에서는 일본 서브컬처의 소재가 개인과 일상을 다룬 것에서 “타국에 대한 침략전쟁”이라는 새로운 테마가 활용되기 시작했음을 확인하였다. 그것은 대중들의 “작은 이야기”에서 국가의 “커다란 이야기”로 이행되는 시대의 변화를 담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특히 비고 등의 서양인이 아닌 일본인에 의한 전쟁희화라는 점에서 다른 풍자 그림과는 차별성을 지닌다. “타국에 대한 침략전쟁”이란 소재를 서브컬처에 활용하게 된 일면은 일본의 근대적 국민의식 형성에 전쟁 표상이 자리할 수 있는 당위성을 마련해 준 셈이다.

    영어초록

    Hyakusen hyakushō (1895・1904) was a type of hybrid of Ukiyo-e paintings in the Edo Period and popular among the general public in the Meiji Period. Ukiyo-e, which has become a valuable traditional Japanese culture, also played a role in communicating information in the Meiji period, but soon various variants emerged and formed a subculture. The differences between Edo and Meiji subculture media and modern ones can be seen in terms of their generations, but owing to their strong popularity, they have played very similar roles as political and social functions.
    On this article,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 of Hyakusen hyakushō was similar to which of enjoyed by ordinary people in the Edo Period, but in terms of content, the material “war of aggression against other countries” began to be used. It means that it had begun to reflect the changing times of the transition from a general “Little story” to a “Great story” of Japan. It is believed that advocates of war were able to fully utilize such aspect because it was a medium that ordinary people had long been familiar with for cultural enjoy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語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