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에 대한 재고-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과 관련하여 (A Reconsideration of Lay Disciples’ Awakening in Early Buddhism - With Reference to Three Features of Awakening)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18.03
26P 미리보기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에 대한 재고-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과 관련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54권 / 49 ~ 74페이지
    · 저자명 : 김한상

    초록

    이 논문은 초기 불교에서 재가자의 깨달음(bodhi)을 깨달음의 세 가지 특성들인 보편성, 다면적 과정, 점진적 과정과 연관시켜서 재조명해보려는 시도이다. 일부 학자들은 재가자가 이번 생에 깨달음을 얻을 수 없으며 그들의 종교적 이상은 선하게 살고 출가자들을 물질적으로 후원함으로써 하늘에 재생하는 것이라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는 오해이다. 깨달음은 헌신이나 신의 은총에 달린 것이 아니라 사물들을 있는 그대로 보는 바에 달려 있으므로 사중 모두에게 개방되어 있다. 깨달음은 열반이나 해탈과 같이 수행의 결과를 뜻하는 용어들과 대개 혼용해서 사용하는 것이 학계의 일반적 관행이지만 의미적으로는 이들과 구분할 필요가 있다. 깨달음은 7각지(七覺支, satta- bojjhaṅga)로 이루어져 있으며, 37조도품(三十七助道品, sattatiṃsa bodhipakkhiyā-dhammā)의 완성으로 얻어질 수 있다고 간주된다. 이러한 사실은 7각지와 37조도품이 수행도에서 한 순간의 통일된 최고점이라는 의미보다는 확장된 과정이라는 의미에서의 깨달음의 구성요소들임을 강하게 암시한다. 그리고 이는 깨달음이 순간적인 직관이 아니라 순차적 공부(anupubba-sikkhā)의 마지막 단계로서 이루어진다는 점을 강조한다.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붓다는 재가자들에게 차제설법(次第說法, anupubbī-kathā)을 가르쳤다. 다시 말하면, 붓다의 차제설법은 재가자에게 하늘로 가는 길을 보여주기 위해서가 아니라 깨달음의 길로 이끌어주기 위한 유일한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다. 재가자가 완전한 깨달음인 아라한과를 얻지 못한다는 주장은 초기 불교의 텍스트들에 의해서 뒷받침되지 않는다. 붓다는 재가자들도 이번 생에 완전한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한 점에서 출가자와 재가자로 구성된 사중의 사회적 구분은 정신적 구분이 아니며,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종교적 목표를 공유한다는 프로테스탄트의 상정은 초기 불교에도 완전히 적용된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다.

    영어초록

    Some scholars are of opinion that the laity cannot attain awakening in this very life and that his or her religious goal is to be reborn in the world of gods or that of mankind by observing precepts and supporting the monastics. This is misleading. Awakening is open to four assemblies and depends for its achievement neither on devotion nor on divine grace, but only on understanding the way things really are. Bodhi consists of seven factors of awakening (satta-bojjhaṅga) and it is considered to be attainable through the accomplishment of the 32 requisites of awakening (sattatiṃsa bodhipakkhiyā-dhammā). This strongly suggests that these are components of awakening in the sense of an extended process or path rather than in the sense of a single, unitary culmination of a path. This underscores the fact that awakening can be attained only as the final phase of a gradual training (anupubba- sikkhā) and not in a sudden act of intuition. It is for this reason that the Buddha preaches the gradual discourse (anupubbī-kathā) specially for the laity. That is to say, the Buddha’s gradual discourse was designed for the sole purpose of directing the laity to the path of awakening rather than showing him or her the way to heaven. Therefore we can safely say that the social division of the Buddhist community of monks and laymen is not a spiritual division, and that the Protestant assumption, all men share the same religious goal, is wholly applicable to Early Buddhis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