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철학치유를 위한 서언- 철학치유의 세 축으로서 자기인식, 자기배려, 대화 - (Introduction for Philosophical Therapy- Self-Awareness, Self-Care, Dialogue as the Three Axes of Philosophical Therapy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5 최종저작일 2008.08
23P 미리보기
철학치유를 위한 서언- 철학치유의 세 축으로서 자기인식, 자기배려, 대화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107권 / 117 ~ 139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철학의 위기가 회자되고 철학의 죽음을 알리는 부고장이 남발되더라도 철학은 여전히 우리의 삶을 이루는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그렇다고 그와 같은 시대적 상황들을 우리가 간과하고 넘어갈 수 있는가? 그렇지는 않을 것이다. 철학의 부고장이 삶에 던지는 물음은 무엇인가? 우리 시대는 우리 시대를 위할 철학을 원한다. 우리 시대의 문제와 고통과 절규를 경청할 귀와 이에 대해 이야기를 나눌 입을 원한다. 철학이 그 시대의 삶의 고통과 절규에 귀 기울일 때, 철학은 그 시대의 아픔을 진단하고 치유하는 철학치유를 수행하게 된다.
    철학 치유의 출발점은 자기 인식이다. 철학의 자기인식은 단순히 앎의 차원이 아니라 삶에의 관심으로 확장된다. 즉 앎이 삶에 관심을 가질 때, 자기인식은 자기 배려와 조우한다. 자기배려는 자기인식의 목적이다. 철학 치유는 자기 배려를 목적으로 한다. 마음의 치유를 위한 자기인식과 자기배려라는 역할의 수행은 바로 전통적인 철학방식 가운데 하나인 대화(diálogos)에 위해서 가능해진다. 철학 치유는 대화를 수단으로 한다.
    이와 같은 철학 치유의 세 가지 축을 살펴보기 위하여 이 글은 첫째, 철학과 치유의 관계를 철학의 시원으로 거슬러 올라가 고대 그리스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사상 속에서 찾아본다. 둘째는 마음의 건강과 병의 주체와 객체를 살펴보기 위하여 영혼을, 셋째 마음치유의 내적인 자기성찰의 길로서 자기 인식을, 넷째 마음치유의 목표로서 자기 배려를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마음치유의 구체적 방법으로서 대화를 살펴본다.

    영어초록

    The modern times proclaimed ‘God’s death’ and the post-modern times did ‘the death of Man/Subject. And recently our society suffers from ‘the death of the humanities’. The death appearing along with is ‘the death of philosophy’. What on earth does the notice of death of philosophy mean by in the life of human beings living in the modern times? This writer is groping for the point to revive the modern significance of philosophy facing the tragic situations called ‘Death’ through the inquiry of the rendezvous between philosophy and therapy.
    This writer will study the features of the philosophical therapy in philosophizing in the ancient times, firstly in the relation of philosophy and therapy, secondly the soul as the subject and object of mind-therapy, thirdly the self-awareness(gnôthi seautón) as the way of mind-therapy, fourth the self-care(epimeleia heautou) as the goal of mind-therapy, and finally the dialogue as the method of mind- therapy, during which I am going to form a solid foundation instead to study the spirit of philosophical therapy dwelling in philosophiz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