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자치단체 재정자율성 강화를 위한 공동세 도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a Common Tax to Strengthen the Financial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3.09
27P 미리보기
지방자치단체 재정자율성 강화를 위한 공동세 도입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세연구포럼
    · 수록지 정보 : 조세연구 / 23권 / 3호 / 63 ~ 89페이지
    · 저자명 : 홍성익

    초록

    [연구목적]1995년 민선으로 지방자치단체 의원 및 장의 선출이 시작된 이후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는 많은 발전을 거듭해왔다. 하지만 재정적 측면에서는 중앙정부 위주의 재정정책 시행에 따라 지방자차단체의 재정적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율성 강화를 통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안정성 강화를 위한 공동세 도입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기존 공동세 관련 연구들을 바탕으로 하여 문헌조사를 실시하고, 기존 국회 및 중앙정부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방식이 아닌 공동세 도입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주도적으로 재정정책에 참여하는 방식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역대 여러 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 재정안정성 향상을 위하여 많은 정책을 실시하였으나 그 효과는 미비하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는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등 중앙정부의 이전재원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에서 벗어나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시하고 재정정책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협의체를 구성하고 정책방향의 설정, 재정정책의 실시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면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율성 강화에 큰 역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지방자치단체의 재정은 국회 또는 중앙정부에 의해 크게 좌우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지방자치단체는 이들의 결정에 따라갈 수 밖에 없고 그 결정으로 인하여 재정상황이 변화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지방자치단체가 재정정책에 대하여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urpose]Since the election of local government members and heads through popular elections in 1995, Korea’s local self-government system has continued to develop significantly. However, in terms of finances, local self-driving organizations continue to face financial difficulti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central government-oriented fiscal polici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direction for introducing a common tax to strengthen the financial s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by strengthening their financial autonomy.
    [Methodology]This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based on existing joint tax-related studies. Instead of the existing National Assembly and central government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inances of local governments, local governments took the lead by introducing a joint tax. We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way people participate in fiscal policy.
    [Findings]Previous governments have implemented many policies to improve the financial s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but the effects were minimal.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have no choice but to rely on transfer fund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such as local allocation taxes and national treasury subsidies. If local governments can break away from these policies and form a local government consultative body so that they can actively present opinions and participate actively in fiscal policies, and can actively participate in setting policy directions and implementing fiscal policies, the fiscal autonomy of local governments can be improved. You will be able to perform great dynamics in strengthening.
    [Implications]Local governments’ finance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largely influenced by the National Assembly or the central government. In other words, local governments have no choice but to follow their decisions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ir financial situation cannot help but change due to those decisions, so an important turning point is needed to lay the foundation for local governments to actively participate in fiscal policy. It could b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