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ㆍ20세기초 商去來 會計文書로서의 掌記에 관한 연구 (Janggi (掌記) as Commercial Accounting Documents in the Late 19th and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09.08
35P 미리보기
19세기ㆍ20세기초 商去來 會計文書로서의 掌記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5권 / 131 ~ 165페이지
    · 저자명 : 이헌창

    초록

    다양한 문서가 장기라는 명칭을 가졌는데, 이 글에서는 상거래 회계문서로서의 장기만 다룬다. 상거래 회계문서로서의 장기는 중요한 공통성을 가졌다. 첫째, 상거래 명세서였다. 둘째, 상거래가 정산되는 회계문서였다. 셋째, 상거래와 그 정산 후 발생한 채권ㆍ채무를 보증하는 기능을 하였다. 그래서 장기에는 직인이 있다. 넷째, 수입과 지출이 모두 나와 회계가 이루어지는 점에서, 장기는 회계부에 속하였다. 다섯째, 특정 거래 상대방과의 일정 기간 거래에 대한 부분적인 결산서였다. 이런 장기들을 모은 책자인 掌冊은 전면적인 회계서가 될 수 있겠다.
    19세기말ㆍ20세기초 개성상인 및 서울ㆍ부산ㆍ인천의 객주와 같은 대상인뿐만 아니라 半官半民의 선진적 경영과 경상감영도 장기를 사용하였다. 강원도 洪川의 도매상인인 宋化善이 발송한 장기는 지방 도처, 그리고 장시의 상거래에서도 장기가 활용되었음을 드러낸다. 장기는 도매 거래와 위탁 거래에서 널리 활용되었다. 장기 회계가 늦게 도입된 농촌 시장에 활동한 송화선의 장기는 소규모 시장 조건에 알맞게 간편한 형태로 진화하였음이 드러난다.
    장기는 원시적 증빙기록이 부기제도의 진전에 힘입어 세련된 서류로 진화한 산물이며, 그 자체로 이윤과 손실까지 계산할 수도 있는 점에서 간편화와 효율화를 동시에 달성하는 회계제도였다. 『各圃間數本錢會計』와 『京送貿物掌記都摠冊』에는 자본과 현재가치의 개념이 나오고 이윤이 계산되었다. 장기 거래는 오늘날에도 통용되는 상호계산제도였다. 장기는 일기 및 회계부와 연계될 수 있는 거래 증빙서류라는 점에서 조선시대 상거래 회계에서 핵심적인 의의를 가진다. 장기와 같은 효율적인 문서의 출현과 진화도 복식부기로의 발전과 더불어 회계제도의 발전을 의미한다. 이처럼 효율적인 상거래 회계문서나 복식부기를 이용하여 합리적 자본계산을 하는 경영은 자본주의맹아라 할 수 있고, 그 존재는 자본주의 문명을 흡수할 수 있는 사회적 역량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Among Janggi(掌記)s used for the tile of various documents, this paper deals with those of commercial accounting documents. Janggis as commercial accounting documents share the following attributes in common. First, it is the detailed statement of commercial transactions. Second, it is the settlement of accounts for commercial transactions. Third, Janggi is signed so to work as a surety bond guaranteeing the fulfillment of obligations arisen after the settlement of commercial transactions. Fourth, it is a component of accounting system in respect that revenues and expenses are recorded. Lastly, it is a partial balance sheet for a specific period of transaction.
    Before the twentieth century Janggi(掌記)s were generally used in wholesale and consignment transactions by Gaeseoung(開城) merchants, and brokers(客主) of the flourishing ports. By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ey were used in big markets of local regions. The concept of current value and capital and profit are found in some Janggis. The efficient commercial accounting documents such as Janggis as well as double-entry bookkeeping show the development of accounting methods in Joseon dynasty(朝鮮王朝). Business operations based on rational capital calculations by efficient accounting methods such as double-entry bookkeeping and Janggis can be defined as a capitalist embryo, and their existence reveals the social capability for absorbing capitalist civi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古文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