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정행위로 상여처분된 금액에 대한 소득세 부과제척기간 (A Study on the Statute of Limitations Period for Income Taxes on Earnings for which Disposition of Income is made though Unlawful Mean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4.12
29P 미리보기
부정행위로 상여처분된 금액에 대한 소득세 부과제척기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무사회 부설 한국조세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세무와 회계연구 / 3권 / 2호 / 341 ~ 369페이지
    · 저자명 : 홍영표

    초록

    납세자가 사기나 그 밖의 부정한 행위로 국세를 포탈하거나 환급․공제받은 경우 국세의 부과제척기간은 당해 국세를 부과할 수 있는 날부터 10년간인데, 개정 국세기본법 규정에 따라 부정행위로 포탈하거나 환급ㆍ공제받은 국세가 법인세이면 이와 관련하여 법인세법에 따라 소득처분된 금액에 대한 소득세에 대해서도 그 소득세를 부과할 수 있는 날부터 10년간으로 제척기간이 연장되었고, 부칙조항에 따라 위 개정규정은 2012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법인세법에 따라 소득처분하는 금액부터 적용되었다. 이러한 개정 국세기본법 규정 및 그 부칙규정에 의하면, 법인의 임원이 법인의 자금을 횡령하는 과정에서 법인의 장부를 조작하는 등의 부정행위를 하여 법인세를 포탈한 경우 사외로 유출된 금원의 소득귀속자가 분명한 경우뿐만 아니라 불분명한 경우에도 모두 소득세에 대해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되고, 부정행위의 시기와 관계없이 소득(상여)처분이 2012. 1. 1. 이후 최초로 이루어지기만 하면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이 적용된다.
    그러나 사외유출된 소득의 귀속자가 불분명한 사안에서 대표자가 실제 귀속자를 입증하지 못할 경우 대표자에 대해 인정상여처분을 함으로써 제재를 가하겠다는 대표자 인정상여 제도의 취지와 국세기본법이 특별히 장기의 부과제척기간에 관한 규정을 둔 취지에 비추어 보면, 사외유출된 소득의 귀속자가 불분명한 사안에서까지 마치 대표자가 부정행위를 저지른 것처럼 상여처분 대상 소득의 소득세에 대해 10년의 부과제척기간을 적용하는 것은 타당하다고 볼 수 없으므로 제척기간에 관한 개정 국세기본법의 신설규정은 법인의 임원 등이 부정행위를 하여 법인세를 포탈한 경우 상여처분 대상 소득의 귀속자가 분명한 사안에 한하여 적용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이러한 신설조항이 시행되기 이전에 납세의무가 성립한 소득세에 대하여 이 사건 신설조항을 적용하는 것은 진정 소급입법에 해당되고 달리 진정 소급입법이 허용될 만한 특수한 사정도 존재하지 않으므로 위 개정 국세기본법 규정의 적용시기를 정한 부칙조항은 위헌이라고 판단될 가능성이 높은바, 위 부칙조항은 시행일인 2012. 1. 1. 이후에 종료되는 부정행위와 관련된 소득처분부터 적용되도록 개정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어초록

    If a taxpayer evades any national tax, or receives a refund or deduction, by fraudulent or other unlawful means, hereinafter referred to as “unlawful means”, the statute of limitations period for assessment of national taxes is ten years from the date on which national tax is assessable. However, according to the amended Article 26-2(1)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the statute of limitations period for assessment of national taxes has been extended to ten years from the date on which income tax is assessable on the amount of disposition under Article 67 of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if the national tax item that has been evaded by unlawful means or refunded or deducted involves corporate income tax.
    According to Addenda Article 2(1), the amended provisions of the latter part of Article 26-2(1) applies beginning with the amount to be first disposed of under Article 67 of the Corporate Income Tax Act after January 1, 2012.
    According to the above provisions of the law, the statute of limitations period with respect to income taxes involving evasion of corporate income taxes through unlawful acts such as embezzlement by an officer of a corporation is ten years from the date on which income tax is assessable both when it is clear to whom the earnings involving funds that flow outside the company will revert but also when it is no clear to whom the earnings will revert. Also, the ten-year statute of limitations period applies regardless of the date of the unlawful act as long as the disposition of income first occurs after January 1, 2012.
    However, it is unfair to apply the ten-year statute of limitations period for income taxes on earnings from disposition of income as if the company representative has committed an unlawful act where it is not clear to whom the outflow of funds from the company will revert. As such, it is appropriate to apply the statute of limitations provision of the Framework Act on National Taxes only where it is clear to whom the earnings subject to disposition of income will revert if the corporate officer has evaded corporate income taxes by unlawful means.
    In addition, the above revised Article of the Framework on National Taxes applies retroactively in that the provision applies to taxpayers for whom the tax liability has been established even before the law has entered into force. Given that there are no special circumstances for which a retroactive legislation will be accepted, there is a high likelihood that such addenda to the amended Article of the Framework on National Taxes will be deemed as unconstitutional.
    As such, it is recommended that Addenda Article 2(1) be amended to apply beginning with the disposition of income through unlawful means that is completed after January 1, 201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세무와 회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후